더트리 심리클리닉ㅣ포스트

뉴본 스토리심리치료 이야기 시리즈심리학 NOW

뇌과학 이야기: 청소년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과거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된 복측 선조체의 신경 회로 변화가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벨트 착용, 평화로운 시위 참여 등 또래 간에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양미린 Mirin Yang, MA

A Dog and A Boy

Picture

‘일진’, ‘중2병’, ‘문제아’ 등 청소년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는 수식어가 우리 사회에서 사용된 것은 꽤나 오래 되었습니다.이런 표현들이 사용됨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해석도 가능하겠지만 과학적인 근거 역시 뒷받침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발달 신경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과 과학자들의 질문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APA Monitor on Psychology

Picture

 

청소년들의 충동성 및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행동에 대해 여러 원인 중에는 우리 뇌에서 집행 기능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측 선조체 ventral striatum의 활성화가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피임없는 성관계 등과 같은 행동을 설명할 때 언급되었던 점입니다. 하지만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의 Eva Telzer 박사는 Developmental SocialNeuroscience Lab에서 진행된 최근 연구를 통해 과거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된 복측 선조체의 신경 회로 변화가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벨트 착용, 평화로운 시위 참여 등 또래 간에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동에서 어른이 되는 변화는 단순하지 않기에 우리 뇌 역시도 이 시기동안 역동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 Yale University의Fundamentals of the Adolescent Brain Lab의 디렉터 BJ Casey 박사는 지금까지는 아동청소년의 뇌에 대해 연구할 때 성인 뇌 표본에 비추어 연구해왔으나 발달 신경 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마다 뇌의 변화 방식과 속도가 다름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에 학자들은 청소년의 위험감행 행동, 정서 반응 등 청소년 뇌에 대한 기존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함으로써 아이들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Post in 심리치료 & 건강
Tagged DBT 

During the pendemic, Dr. Cho and his team in Korea reached to people who are in great psychological assistance.

추천글
pexels-photo-1831764.jpeg

나를 사랑하는 방법

“DBT 치료를 받기 전에는 삶이 항상 좋은 일만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고통스러운 순간들을 감내하면서 살아갈 필요가 있는지 의문만이 가득했습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90, 12층
지도바로가기

02 557 8823

info@thetreeg.com

화 – 금요일 : 10:00 AM – 7:00 PM KST
토요일: 9:00 AM – 6:00 PM KST
월요일: 휴무

CONNECT WITH US

Copyright © 2021 the Tree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