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T Intensive Training 정규 교육 수련 과정, 많은 관심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DBT는 1980년대에 마샤 리네한 박사와 연구진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감정조절 및 행동조절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치료 기법입니다. 과학적인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DBT 치료는 내담자의 고유한 상황, 문화,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되어 치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세계 여러 나라 전문가들이 DBT를 실행할 수 있도록 마샤 리네한 박사가 설립한 DBT 전문 교육 기관인 Behavioral Tech.에서는 오랫동안 DBT를 실행할 수 있는 지식과 스킬을 전수하는 DBT Intensive Training (DBT 인텐시브 트레이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트리그룹의 대표 심리학자이자 DBT KOREA 창립자이신 조용범 박사님은 오랜 기간 Behavioral Tech 과 협력하여 한국에서 최초로 DBT Intensive Training 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조용범 박사님의 가치 중 하나는 문화적, 종교적 다양성을 존중하며, 심리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의 노력은 여러 매체에서 소개되었으며, 그의 열정은 인간의 심리적 고통을 줄이고 어려운 상황에서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DBT Intensive Training은 조용범 박사님과 그의 팀이 DBT를 통해 생명을 구하는 데 헌신하는 노력을 사명으로 삼고 있습니다. 한국 내에서도 최고 수준의 DB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더 많은 전문가들이 DBT 를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DBT Intensive Training은 DBT 치료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소중한 기회일 것이며, 조용범 박사님과 그의 팀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통해 더 나은 심리적 건강과 삶을 추구할 수 있는 지름길을 제공합니다. 그들의 노력은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변화를 가져다줄 것입니다.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DBT Intensive Training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4 Active Learning Winter Intensive 프로그램 안내

일시: 2023.12.13 (화) ~ 2024. 2. 24 (토) [총 11주]

아이들의 끝없는 상상력과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기회

아이들이 끝없는 상상력과 자신들의 이야기를 그려나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다가오는 12월 13일, 더트리그룹 액티브러닝 프로그램이 Winter Intensive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더트리그룹/School of Life 액티브 러닝 센터

2024 Active Learning Winter Intensive 프로그램 안내

언어 습득 지연, 주의력 결핍과 같은 행동장애 또는 정서장애로 인한 학습 지연, 발달 지연이나 사회성 문제로 고통받는 아이들이 새로운 학교로 진학하여 정상에 가까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액티브러닝 프로그램의 목표입니다. 종합심리교육평가를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문제와 증상, 언어 발달과 학습적 상태를 명확하게 진단하고, 이러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치료하고 교육합니다.

 

스쿨 오브 라이프: 스트림 프로그램 학생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태어났을 때부터 세 가지 언어에 노출되고, 코로나의 영향으로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는 다른 사람들의 입모양을 보지 못한 아이 A는 언어 발달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그의 말을 이해하지 못해 소통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아이 A 는 답답함과 감정 조절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종합심리교육평가 결과, 아이의 강점은 작업기억 능력과 영어 듣기 능력임을 확인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섬세한 심리 교육 전략을 활용하여 아이가 자신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아이의 언어 수준에 맞는 동화책을 읽어주며 수용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아이가 동화책 내용에 대한 궁금증을 표현하도록하여 상상력을 펼치고, 생각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전략을 구상했습니다. 또한 동화책에 나오는 핵심 용어를 쓰고, 발음하며 언어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었습니다.

 

아울러 행동치료적 임상치료를 통해 아이가 선생님의 입모양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감정 조절 전략을 교육하여 문제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습니다. 아이는 이제 더 이상 답답함을 부적절하게 표현하지 않고 학습을 거부하지 않습니다. 액티브러닝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는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고 활용하여 임상적인 행동 문제를 치료받을 수 있었습니다.

 

2024 Winter Intensive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의 강점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이야기를 펼칠 수 있기를 바랍니다. Winter Intensive 프로그램 등록이나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일시: 2023.12.13.(화) ~ 2024.2.24(토) [11주]

*Winter Intensive Program 의 경우, 학교 혹은 개인 일정으로 참여 기간이 학생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스케줄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주 5일 / 하루에 5시간 혹은 6시간 

 

주 단위 프로그램 구성

임상치료 세션: 1시간 (혹은 개인에 따라 1시간 이상)

액티브러닝 세션: 12-15시간

학습행동수정 세션 및 자율학습 (ABCMM): 9-14시간

한 주에 총 25-30시간

개인에 맞춰 프로그램이 개발되므로 시간 구성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등록 문의: info@thetreeg.com / 02-557-8823 

 

액티브러닝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트리그룹/ 액티브 러닝 센터

김예경ㅣ액티브러닝 코디네이터, 액티브러닝 센터 / 더트리그룹

감정조절스킬 목표와 감정의 기능 이해하기 ㅣ 성인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채송희ㅣSonghee Chae, M.A.

왜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까?

 

감정적으로 심하게 민감하거나 쉽게 격정적이 되는 사람들, 정서적 고통을 자주 겪는 사람은 생물학적으로 감정적 자극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특성이나 감정에 대해 충동적 반응성이 강한 특성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에 환경적 비수인성 또는 감정조절 방법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한 경우에 감정조절의 어려움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감정은 매우 미묘하게 생겨나고, 여러 가지가 동시에 느껴지기도 하며, 강하게 느껴지는 기간이 길거나, 차분한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여 조절하는 것이 마음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감정조절스킬이 도움이 될까?

 

우리는 감정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지만,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도 있습니다. 유약성이 높지 않은 상황 등에서는 감정 조절이 상대적으로 쉬울 수 있지만, 반대의 상황이거나 복잡한 문제상황에서는 감정조절이 더욱 어렵게 느껴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정조절스킬을 배우고 연습해두면 보다 통제불능 혹은 조절장애적 상태가 되지 않도록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

 

감정조절을 위한 스킬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감정을 파악하고, 감정의 순기능을 이해하기

2. 원하지 않는 감정의 빈도 감소시키기

3. 감정적 마음으로 가는 유약성 줄이기

4. 정서적 괴로움을 줄이기

 

감정의 순기능이란 무엇일까?

 

감정이 우리를 위해서 행동의 동기를 부여하고, 타인과 의사소통하며, 자기 자신에게 신호를 주는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을 합니다. 불안의 순기능은 준비하고 위험으로부터 피하게 하는 것이고, 분노는 자신을 보호하고 방어하도록 하는 순기능을 갖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것은 생물학적으로 내재화된 기능이므로 우리가 쉽게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순기능을 위해 우리는 불편함을 느끼고 일상적 과업을 수행할 때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게 되기도 합니다. 다만, 감정적 반응이 강렬할 때 이러한 순기능을 이해한다면, 나의 감정의 원인을 잘 파악하기 쉽고,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여 감정을 조절하는 것을 수월하게 해낼 수 있게 됩니다.

 

채송희 심리치료전문가,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마인드풀니스 창작 춤 파트 1: 레몬에서 레모네이드 만들기

조용범 Yong Cho, Ph.D.

 

   
백 여년전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현대화되기 시작할 때, 멋진 차를 출고받았지만 불량품을 받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제조사가 불량품을 만들었다해도, 그 제품에 대해 반품을 하거나 환불을 할 수 없었고, 모든 책임은 소비자에게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부당하다고 생각한 레몬 상원의원은 레몬법을 발의하였습니다. 그 법은 소비자가 불량품을 받았다면 그에 대한 책임은 제조사에 있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해야한다는 법안이었습니다. 이 획기적인 법안이 나온 이후부터 미국에서는 소비자에게 운없게 던져진 불량품을 레몬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우리 삶에 원하지 않는 운명이라는 레몬에서 레모네이드를 만드는 것을 몸의 동작으로 마인드풀하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트 1
1. 레몬 담기
우리의 운명에 던져진 레몬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적어봅니다. 나를 괴롭히고, 피하고 싶고, 힘들게 하는 레몬. 왜 나는 이렇게 태어났는지, 왜 나는 남이 있는 것이 없는지 등. 레몬들을 하나씩 하나씩 담아봅니다.
 
2. 레몬 압착하여 갈아보기
이 운명이라는 레몬을 레모네이드로 만들기 위해서 이제 레몬을 압착하고 갈아야 합니다. 레몬을 짜내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해야할지, 나의 무엇으로 레몬을 갈고 누르고 압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십시요. 힘들어도 꿋꿋히 인내하는 것, 피하지 않는 것 등. 나의 삶과 고통을 한 알 씩 갈아 레모네이드를 만들어 갑니다.
3. 향과 맛을 더하기
압착되어 짜낸 레몬액에 이제 나만의 독특한 향과 맛과 색을 첨가합니다. “나는 고통스러워도 지금까지 잘 견뎌왔어, 사람들이 나의 노력을 좋아하고 칭찬해, 나는 그래도 최고야,” 등과 같이 나만의 향과 맛, 그리고 색을 레몬액에 넣습니다.
 
3. 인생의 레모네이드를 만드는 과정을 창작춤으로 만들기
이제 이렇게 나만의 레모네이드를 만드는 과정을 춤으로 마인드풀하게 만들어봅니다.
 
나의 고통과 괴로움, 나의 운명의 짐을 하나씩 압착하고 갈아 짜내고, 나의 마음, 나의 진심, 나의 가장 좋은 점을 넣어 몸의 동작으로 마인드풀하게 표현해봅니다. 나의 손과 발, 몸이 움직이는데로, 그대로 나의 레몬을 레모네이드로 만들어봅니다.
 
온전히 몸의 동작에 몰입하며 마인드풀하게 나의 몸의 동작에 참여합니다.
 

내 인생이 던저준 레몬에서 레모네이드를 만드는 나 만의 마인드풀니스 춤을 힘들고 괴로운 모든 이들을 위해 같이 나눕니다.



감사의 글

소중한 레몬에서 레모네이드 만들기 마인드풀니스 창작물 공유에 동의해주신 JH JC 님께 감사드립니다.

운명의 레몬에서 레모네이드 향을~

Post in Mindfulness
Tagged DBT 

뇌과학 이야기: 청소년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양미린 Mirin Yang, MA

A Dog and A Boy

Picture

‘일진’, ‘중2병’, ‘문제아’ 등 청소년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는 수식어가 우리 사회에서 사용된 것은 꽤나 오래 되었습니다.이런 표현들이 사용됨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해석도 가능하겠지만 과학적인 근거 역시 뒷받침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발달 신경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과 과학자들의 질문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APA Monitor on Psychology

Picture

 

청소년들의 충동성 및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행동에 대해 여러 원인 중에는 우리 뇌에서 집행 기능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측 선조체 ventral striatum의 활성화가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피임없는 성관계 등과 같은 행동을 설명할 때 언급되었던 점입니다. 하지만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의 Eva Telzer 박사는 Developmental SocialNeuroscience Lab에서 진행된 최근 연구를 통해 과거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된 복측 선조체의 신경 회로 변화가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벨트 착용, 평화로운 시위 참여 등 또래 간에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동에서 어른이 되는 변화는 단순하지 않기에 우리 뇌 역시도 이 시기동안 역동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 Yale University의Fundamentals of the Adolescent Brain Lab의 디렉터 BJ Casey 박사는 지금까지는 아동청소년의 뇌에 대해 연구할 때 성인 뇌 표본에 비추어 연구해왔으나 발달 신경 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마다 뇌의 변화 방식과 속도가 다름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에 학자들은 청소년의 위험감행 행동, 정서 반응 등 청소년 뇌에 대한 기존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함으로써 아이들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Post in 심리치료 & 건강
Tagged DBT 

During the pendemic, Dr. Cho and his team in Korea reached to people who are in great psychological assistance.

온전한 쉼

온전한 쉼

Picture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카드 중 ‘온전한 쉼’을 소개합니다.

들숨과 날숨을 알아차리다

숨을 쉰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숨쉬기와 마음 다스리기는 모든 명상법에서 중심이 되는 요소입니다. 

이 중 온전하고 싶은 숨쉬기는 요가 명상법의 하나입니다.

 

바닥에 담요나 매트를 깔고 누워보세요. 

이때 손은 자연스럽게 옆에 둡니다. 

코끝에 닿는 공기를 느끼면서 숨 쉬는 것에 집중합니다.

 

바닥에 담요나 매트를 깔고 누워보세요. 

이때 손은 자연스럽게 옆에 둡니다. 

코끝에 닿는 공기를 느끼면서 숨 쉬는 것에 집중합니다.

일찍이 동양에서는 호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호흡은 우주로부터 하늘에 기운이 몸안에 들어와 생명에너지가 작용하고 있는 현상으로 보았습니다. 요가에서는 호흡을 마음의 표현으로, 인도에서는 prana로 중국에서는 Qi(氣) 의 표현 현상으로 보았습니다(Fried & Grimaldi, 1993).

 

따라서 적절한 호흡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필수적인 요소 이며 동시에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숨쉬기와 마음 다스리기는
모든 명상법에서 중심이 되는 요소입니다.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중에서

더트리그룹

Post in Mindfulness
Tagged DBT 

들숨과 날숨

김수민 Sumin Kim, M.A. | 액티브러닝센터 스페셜리스트

김수민 Sumin Kim, M.A.

Active Learning Specialist | Psychological Services Coordinator

아이들이 자신의 고유 색깔로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있길 바랍니다”   

  

김수민 선생님은 7살부터 19 고등학교 졸업까지 네덜란드, 두바이, 한국, 그리고 독일을 오가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성장하였습니다. 해외에서 체류하는 동안 국제학교에 재학하며 자연스럽게 여러 문화를 습득하는 과정을 통해 이중문화권의 정체감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International School of Dusseldorf 재학 시절, afterschool Korean class와 뒤셀도르프 한인학교에서 보조 선생님으로 활동하면서 김 선생님과 비슷한 성장배경을 가진 이중문화권 아이들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후, 이런 아이들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해 교내 mentoring class를 개설하여, 학교와 새로운 이주 문화에 적응의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언어와 놀이를 병행한 멘토링 세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세션을 통해 아이들이 점차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지고 자신감을 얻어가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아동 청소년의 마음에 대한 관심과 뜻이 더욱 깊어졌습니다.   

  

IB Diploma 과정을 이수하면서 Psychology 수업을 통해 심리학의 기초를 다진 후, 이를 기반으로 귀국한 이중문화권 아동들의 심리를 공부하기 위해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와 아동청소년학과를 전공하였으며, 이후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행동치료 및 상담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마쳤습니다. 석사 학위 논문으로 한국으로 귀국한 제 3문화 아이들 (third culture kids)에 대해 연구하면서 이중문화권 아이들의 심리적, 정서적, 학습적 발달에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석사과정 졸업 후, 김수민 선생님은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행동발달증진센터에서 임상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주의력 결핍 장애,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신경발달적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의 검사와 치료를 담당하였습니다 

  

김수민 선생님은 액티브 러닝 스페셜리스트로서 아이들이 자신의 방식대로 새로운 것을 탐색하고 배워 나가는 재미를 느낄 있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 행동치료 및 상담전공 석사 졸업  

– 성균관대학교 심리학 및 아동청소년학 학사 졸업   

DBT Intensive Training 정규 교육 수련 과정을 위한 사전 준비 프로그램인 DBT 러닝 커뮤니티가 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DBT 교육원입니다.
 

올해 12월에 진행되는 DBT Intensive Training Part I을 시작하기에 앞서 DBT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사전에 습득하기 위한 DBT 러닝 커뮤니티 첫 번째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치료팀 기반의 셀프스터디 과정인 DBT 러닝 커뮤니티는 DBT 치료팀이 임상적 치료 업무를 향상시키며 지속적인 동기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DBT 러닝 커뮤니티 과정은 각 팀별로 총 20주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난 주 첫 번째 DBT 러닝 커뮤니티에서는 각 팀별로 DBT의 개요와 과학적 근거 그리고 다이어렉틱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DBT의 개요와 과학적 근거: DBT는 감정조절 문제와 이로 인한 충동적 행동, 자기파괴적 행동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과학적 치료이며 경계선 성격장애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입니다. 경계선 성격장애 외에도 다양한 행동 및 정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DBT는 프로토콜 기반이 아닌 원칙 기반의 치료로 내담자를 만나고 치료를 진행하면서 지켜야 하는 여러 원칙들이 존재하는 것과 동시에 각 내담자의 상황과 증상에 따라 치료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이어렉틱스란: 우리는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이분법적인 전략을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집단과 집단 사이에 극단적인 갈등을 유발하거나 한 개인의 상황 속에서도 예를 들어, 자신의 꿈을 이룰 방법이 없다고 생각되면 자신을 실패작으로 생각하는 극단적인 사고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이어렉티컬한 관점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세상은 변화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고, 세상에는 모순되는 두 현상이 모두 공존한다는 지혜를 깨닫게 도와줍니다. (Team Validation회의록중에서)

 

앞으로 20주간 러닝 커뮤니티를 통해 DBT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치료팀 빌드업과 팀웍 형성이 잘 되기를 기대하며 저희 DBT 교육원은 최선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DBT Intensive Training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DBT 러닝 커뮤니티 20 커리큘럼

 

  1. Overview of DBT, Evidence, and Dialectics
  2. The DBT Consultation Team
  3. The Underpinnings of DBT
  4. Primary Targets of Treatment
  5. Treatment targets: Who, What, When
  6. Dialectical Treatment Strategies
  7. Validation
  8. Problem-solving
  9. Behavioral Assessment
  10. Orientation & Commitment
  11. Structuring Skills Training
  12. Core Mindfulness Skills
  13. Interpersonal Effectiveness Skills Overview
  14. Emotion Regulation Skills
  15. Distress Tolerance Skills
  16. Exposure Procedures
  17. Cognitive Modification
  18. Contingency Management & Observing Limits
  19. Stylistic Strategies
  20. Case Management & Special Treatment Strategies

세계적 DBT 트레이너, 세이어즈 박사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올 12월 DBT 인텐시브 트레이닝에서 직접 만나 DBT의 정수를 전해주실 제니퍼 세이어즈 박사(Jennifer Sayrs, Ph.D., ABPP)를 소개합니다.

 

세이어즈 박사는 미국 Evidence Based Treatment Centers of Seattle(EBTSC)의 Executive Director입니다. Linehan Board of Certification에서 인증한 미국내 최초로 설립된 DBT 센터인 EBTCS 산하 DBT 센터를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Linehan 박사로부터 박사후과정 펠로우쉽을 마쳤고, Linehan 박사의 DBT 리서치 클리닉에서 임상 코디네이터로서 함께 하며 연구 치료자 및 Adherence coder로서 여러 DBT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리네한 박사의 직계 그룹에 있는 세이어즈 박사는 가장 인정받는 DBT 치료자 중 한 분입니다. 또한 Behavioral Tech의 대표 트레이너로서 DBT 워크샵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어, ‘DBT 트레이너의 트레이너’로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8년 DBT KOREA 팀이 시애틀에서 세이어즈 박사로부터 DBT Intensive Training을 받을 때부터 이어져온 인연으로 여러 차례 미국과 한국에서 만나며 DBT KOREA 치료진에 대한 자문과 수퍼비전을 제공해주셨고, 기관 설립과 운영에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한국에서 많은 내담자들이 DBT 치료를 통해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원동력이 되어주셨습니다. 세이어즈 박사는 DBT의 ‘수인’적 태도와 ‘다이어렉티컬’한 지혜를 온전히 보여주는 분으로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내담자들에게 헌신하고 이들을 치료하기 위해 교육수련을 받는 전문가들을 트레이닝하며 가장 선두에서 DBT 치료와 문화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세이어즈 박사에게 직접 교육 수련을 받으며 그분의 DBT와 내담자를 대하는 진정한 마음을 경험하시게 된다면, 치료자로서 지평이 넓어지고 한 단계 더 깊어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한국 문화를 사랑하고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세이어즈 박사님 역시 한국 방문과 한국의 DBT를 배우고자 하는 정신건강 분야 전문가분들과의 만남에 대한 큰 기대감을 전해오고 있습니다. 

 

제니퍼 세이어즈 박사로 부터 DBT 치료를 직접 전수받을 수 있는 다시 만나기 어려운 기회, 20주간의 러닝커뮤니티, 치료팀 구성, 한국어 통역까지 저희 DBT 교육원이 함께 합니다. 


감사합니다.


DBTKOREA.ORG

DBT 교육원

안녕하세요. 조용범입니다.
 
올해로 한국에서 마샤 리네한 박사와 토니 두보즈 박사 팀과 함께 DBT 센터 한국본부가 설립된지 16년째가 되었습니다.
 
DBT 센터 한국본부는 지금까지 마샤 리네한 박사의 미션에 따라 한국에서 높은 수준의 DBT 임상 서비스를 시행하고 동시에 인간의 고통을 낮추기 위한 DBT 치료의 정신에 동감하는 뜻있는 전문가 분들과 관련분야 학생들에게 경험과학적 근거가 있는 DBT의 치료적 효과를 알리는 교육부분을 겸하여 왔습니다.
 
지난 5년여 기간 동안 미국 시애틀의 마샤 리네한 박사 팀이 설립한 DBT 교육수련 전문기관인 Behavioral Tech과 DBT Intensive Training 관련 협력을 하면서, 한국에서도 이제 Behavioral Tech과 같이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DBT 교육 기관이 시작되어야 하는 시점이 되어 교육 중심의 DBT 교육원이 새롭게 설립되었습니다.
 
DBT 교육원은 한국의 평생교육의 가치를 공유하며 마샤 리네한 박사와 핵심 전문가 그룹이 추구하는 고통받는 인간의 괴로움을 수인하며 치유해가고자 하는 교육적 가치와 미션에 따라 DBT를 배우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앞으로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교육을 진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저희 DBT 교육원은 이러한 미션에 동참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언제나 마인드풀한 마음으로 환영하고 협력해 나가고자 합니다.
 
이제 곧 DBT 집중과정을 위한 여러 준비 프로그램이 시작이 됩니다. 각 팀별로 또는 영상이나 직접 만남으로 만나뵐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조용범

대표
DBT 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