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T Experiential Class 대인관계 스킬 첫 번째 주

조용범 ㅣYong Cho, Ph.D.

DBT 대인관계 효율성 스킬 ㅣ전문가를 위한 DBT Experiential Class 첫번 째 주

 
마인드풀니스 지혜로운 마음
 
 
이번 학기는 전체 4학기의 DBT Experiential Class 의 첫 번째 학기에 해당되는 클래스입니다.

마인드풀니스의 핵심적인 부분을 깊이있게 다루면서 대인관계 효율성 스킬을 습득하는 클래스입니다. 

첫 번째 주를 시작하면서 Pre-session 동영상 클래스에서 설명드린 마인드풀니스의 지혜로운 마음과 세가지의 마음의 상태 그리고 마인드풀니스 WHAT 스킬을 다루었습니다.

 
DBT 에서 마음의 세가지 상태에 대해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도 우리 모두가 우리의 마음의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공유된 용어가 없고, 너무나도 다양하고 복잡한 마음의 상태를 언어화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먼저 우리는 우리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쉽게 이해하고 이 상태에 대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용어가 필요합니다. 
 
합리적 마음은 논리적이고 산술적이며 이성적인 마음의 상태입니다. 
냉철한 마음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을 하거나 계산을 할 때 유용하지만 관계를 유지할 때 꼭 유용하지만은 않습니다.

감정적 마음은 기분에 따라 충동적인 행동으로 쉽게 이어지게 하는 마음의 상태입니다.

이러한 감정은 매우 뜨겁고 예측하기 어려운 마음의 상태입니다.
우리를 인간답게 하고 동기를 유발하는 감정이지만
감정이 우리 마음을 지배하게 되면 충동적이고 통제가 안되는 마음이 됩니다.
 
이러한 마음의 상태는 우리의 일부이며
합리적 마음이나 감정적 마음을 조화를 이루어 유지하면 건강한 마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마음의 상태가 마음 전체를 압도해 버릴 때 생기게 됩니다.
DBT에서는 이러한 극단적으로 가는 마음의 상태를 조화롭게 하는 것
즉 다이어렉티컬한 과정을 통해 균형을 잡아가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우리의 마음의 균형을 잡도록 가이드하는 마음이 지혜로운 마음입니다.

지혜로운 마음은 여러가지 마음의 상태와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합리적 마음과 감정적 마음이 조화를 이루는 마음의 상태이기도 하고
우리 마음 속 깊이 진리가 무엇인지 알도록 하는 가이드이기도 합니다.
모든 종교에서는 지혜로운 마음의 상태에 대해 여러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깨닭음이나 성령의 은혜
깊은 기도와 묵상을 통해 심연의 진리에 대해 알게 되는 과정 등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많은 체험들이 이 마음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깊이 있는 지혜로운 마음에 있게 되면
공통적으로 차분함이나 평화로움과 같은 마음을 느끼게 됩니다.
불안이나 근심, 우울과 같은 감정이 누그러지고 편안한 마음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감정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지혜로운 마음에 닿으려고 할 때
자연스럽게 마음의 평온이 같이 따라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지혜로운 마음은
우리에게 통찰을 주고
원인에 대해 진실을 알게해주며,
우리의 욕망을 밝히고
진리가 무엇인지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깨닫게 하고
나를 넘어선 전체를 바라보게 합니다.
 
한 주간 우리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지혜로운 마음에 다가설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empty road surrounded with green trees

전문가를 위한 DBT Experiential Classㅣ대인관계 효율성 스킬

전문가를 위한 DBT Experiential Classㅣ대인관계 효율성 스킬

 
 

클래스 소개

2008년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DBT)의 개발자인 마샤 리네한 박사는 조용범 대표의 초청으로 한국에 방한하여 DBT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한국 전문가들이 DBT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리네한 박사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국 DBT 센터/더트리그룹은 전문가를 위한 DBT Experiential Class를 런칭하였습니다.
  

그 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본 클래스를 통해 DBT 그룹에서 일어나는 실제 상황들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올해부터는 전문가를 위한 DBT 클래스를 상설화 하여 학기별로 등록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DBT Experiential Class를 통해 배운 스킬을 자신의 실제 어려움과 상황에 적용해 나갈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특별히 이번 학기는 DBT Experiential Class 전체 4학기 중, 첫 번째 학기 시작으로 DBT 대인관계 스킬을 시작하게 됩니다.

조용범 박사와  DBT 한국본부는 마샤 리네한 박사와 미국 DBT 교육수련 기관의 뜻에 따라 DBT 치료자가 되고자 하시는 자격을 갖춘 전문가 분들에게 이 클래스를 오픈하였습니다.

DBT KOREA에서는 전문가 분들께서 깊이있는 교육과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참여하시는 분들은 실제 DBT 치료팀과 같이 수인적인 환경에서 DBT를 경험하고 배우실 수 있습니다.

 


CLASS LEADER  

조용범 박사  

미국 뉴욕주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주) 대표 

진행기간  

2023년 2월 2일 ~ 2023년 4월 6일

(매주 목요일 오후 6-8시)  


참가신청 및 접수 방법  

2023/1/23(월) 오후1시까지  

이메일 신청 DBTKorea@THETREEG.COM  

전화 신청 02-557-8823  

등록 신청 

https://forms.office.com/r/Kvv8SpTmJw

참가비  

77만원 (VAT 포함) 

하나은행 542-910020-45204  

더트리그룹(주) 

교재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워크북 제2판, Marsha Linehan 저 / 조용범 역

전문가를 위한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워크북 제2판, Marsha Linehan 저 / 조용범 역

*신청 마감일 이후 참가비 송금에 대한 안내 문자를 보내드립니다. 문자 확인 이후 송금 바랍니다.

**성원이 안되는 경우 클래스가 연기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 지난 전문가 클래스 학회 홍보 자료 가운데 문구가 윤문 중 오류가 있어 정정하였습니다.

DBTKOREA.ORG

Click Here
Click Here

정반대 행동으로 두려움 극복하기ㅣ청년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조용범 ㅣYong Cho, Ph.D.
정반대 행동으로 두려움 극복하기


우리가 감정적 격정이 생겨날 때 먼저 점검해 볼것은, 현재 느껴지는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사실을 확인하는 과정을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에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감정의 태풍의 몰아칠 때, 잠시 태풍의 눈에 조용히 마인드풀한 마음을 갖도록 해보십시요.
그리고 지혜로운 마음에 물어봅니다.
 
 
한 주동안 각자 가장 유약한 감정에 대한 정반대행동하기를 해보는 숙제를 주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것에 대한 정반대 행동하기를 하였습니다.
여성들은 혼자 어두운 곳이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남성이 나타나면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으슥한 건물에서 남성들이 나타날까봐 두렵다면 상황에 부합한 감정이지만
사람들이 많은 직장에서도 남성들이 있을 때 두렵다면 상황에 부합하지 않는 감정일수 있습니다.
 
 
이렇게 두려움이 사실에 부합하지 않을 때 DBT 정반대 행동하기를 하도록 합니다.
두려움의 정반대 행동은, 두려워하는 그 장소 사건 활동을 일부러 노출하여 그 두려움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이렇게 정반대행동을 온전히 두려운 사건에 오감을 열어서 관찰하며 진행하면
자신감과 숙련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Young Adult, Class Plan
 
2022-12-3 at 11AM
 
Leader: Yong Cho, Ph.D.
Mindfulness: Yong Cho, Ph.D.
  •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숙제 점검:
  1. 감정조절 자료 9 정반대 행동하기와 문제해결하기: 어떤 스킬을 사용할지에 대한 결정 250 (워크시트 6)
    감정조절 자료 10 정반대 행동하기 251 (워크시트 7)
 
Today’s Lesson:
 
Review
  1.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워크시트 5)
  2. 감정조절 자료 8A 사실에 부합하는 감정 반응의 예 249
  3. 감정조절 자료 9 정반대 행동하기와 문제해결하기: 어떤 스킬을 사용할지에 대한 결정 250 (워크시트 6)
  4. 감정조절 자료 10 정반대 행동하기 251 (워크시트 7)
Class
  1. 감정조절 자료 12 문제 해결하기 261 (워크시트 8)
  2. 감정조절 자료 13 정반대행동하기와 문제해결하기 리뷰 262 (워크시트 6-8)
 
Homework:
 
  1. 감정조절 자료 12 문제 해결하기 261 (워크시트 8)
  2. 감정조절 자료 13 정반대행동하기와 문제해결하기 리뷰 262 (워크시트 6-8)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정반대 행동 이해하기ㅣ성인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close up photo of flower in bloom
채송희ㅣSonghee Chae, M.A.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이번 주 성인 DBT 클래스는 ‘향을 관찰하기’ 마인드풀니스로 문을 열었습니다. 

 

차나 커피, 로션, 오일 등을 준비하여 숨을 들이쉬며 향이 나는 것에 코를 가까이 대고 향을 알아차려보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향을 하나 하나 따로 구분하여 감각 경험을 하며, 처음에 느껴진 향과 중간에 느껴지는 향, 마지막에 잔향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였습니다. 
 

“자주 즐겼던 아로마 오일에서 오렌지 향이 나는 것을 이번에 처음 느꼈어요. 
톡쏘는 향에만 집중이 되었었는데, 첫 향의 상큼함을 알게 되었네요.”

 

늘상 우리 주변에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경험하지 않고 내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에서 부터 벗어나
내가 경험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진정으로 경험하여 새로움을 발견해내는 마인드풀한 한 주가 되기를 바랍니다. 

 

 

정반대 행동하기 vs 온전한 정반대 행동하기

 

정반대되는 행동을 하려면 완전히 정반대되는 행동을 해야 합니다. 즉, 태도와 표정, 생각, 말하는 방식이 모두 반대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절반 정도만 반대되는 행동을 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반대 행동하기와 온전히 정반대 행동하기를 함께 비교하였습니다. 

 

짜증을 줄이기 위해 ‘네 입장을 이해해’라고 말하면서, 비아냥거리는 목소리 톤으로 말한다면 절반 정도만 정반대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슬픔을 줄이기 위해 공원에 나갔지만 슬픈 표정과 축 늘어진 자세로 행동하는 것은 절반 정도만 정반대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의 감정적 행동을 바꾸지 않고 생각과 감정적 표현만을 바꾸는 것은 효과적이니 않을 수 있습니다. 완전히 정반대 행동하기 스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스스로 감정적 행동충동과 정반대 행동을 파악하고 그것을 온전하게 실행하는 것입니다.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Adults Lesson Plan

 

 

2022/11/26 Sat 11am

Leader: Songhee Chae, M.A.

Co-leader: –

 

 

Mindfulness: 향을 관찰하기

 

Review of Homework Practice:

  • 감정조절 워크시트 7: 감정을 바꾸기 위한 정반대 행동하기 (2가지, 단계밟아서 해오기 308쪽)

Lesson

  • 감정조절 자료 11: 정반대 행동하기

Homework:

  • 감정조절 워크시트 7: 감정을 바꾸기 위한 정반대 행동하기
  • 즐거운 활동 매일 1개씩 하기
 
 

채송희 심리치료전문가,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에 대해 자애로운 마음 갖기와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ㅣ청년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조용범 ㅣYong Cho, Ph.D.

오늘이 마인드풀니스


잠시 눈을 지긋이 감고,

호흡에 집중하며 몸에 있는 긴장을 자각하고

손을 하늘을 향해 열어두고 호흡과 함께 긴장을 놓아봅니다.
 

이제 우리 자신을 보며,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참 힘들었지만, 잘 이겨내었어. 평안한 삶을 살수 있어. 참 잘했어!……”

 
이 세상에 버겁게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애로운 말을 합니다.
 
마음 속에 우리를 지금까지 힘들게 했던 사람을 떠올려봅니다.
 
그 사람으로 인해 우리 안에 일으키는 감정을 자각합니다.
 
그 감정을 겪는 우리를 바라봅니다. 힘든 감정을 겪는 우리 자신에게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그리고, 잠시라도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합니다.
 
“나를 너무 힘들게했어…. 얼마나 힘들면 그렇게 나에게 했을까….. 그 사람이 평안하기를…..”
 
자애로운 마음을 그 사람에게 전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자각합니다.
 
그리고 그런 나를 있는 그대로 수인합니다.
 
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 자애로운 마음을 내 안에 키웁니다.
 
……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갖는 힘든 일. 너무나 수고가 많았어.”
 
나 자신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하고 조용히 눈을 뜹니다.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

 
때때로 우리는 무슨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잘 모르고, 급격히 기분이 나빠지는 경험을 합니다.
짜증이 나고 화가나거나, 갑자기 나에게 잘 해주는 사람에게 차갑게 대하기도 합니다.
 
나와 친하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있을 때, 무언가를 요청했는데 상대방이 잘 들어주지 않을 때.
섭섭함이 느껴졌지만, 그냥 이 감정을 무시하고 애써 화를 안내려고 감정을 누르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다른 사람에게 또는 옆에 있는 동물이나 무생물에게 화풀이를 하기도 합니다.
 
감정이 폭발을 할 때에는 갑작스럽게 되기 보다는 일련의 여러가지 사건들이 점차 쌓여가며 증폭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주 사소한 일들.
나와 같이 있는 사람이 내 말에 귀를 기울여 주지 않는 일.
출근 길에 몸을 부딪치고 사과도 하지 않고 지나 가는 사람.
커피를 주문했는데, 나보다 늦게 온 사람에게 먼저 서빙을 하는 일.
 
그리고 얼마 뒤, 감정이 폭발합니다.
 
때로는 분노의 화신이 되어, 잘못 걸린 사람에게 모든 감정을 퍼붓기도 합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강렬한 감정을 느낄 때 이 감정이 현재의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것인지를 생각해 봅니다.
 
내 감정이 지금 이 상황에 적합한 것인가? 상대방에게 퍼부은 이 분노의 감정이 심한 것이었는가?
 
사실을 확인하며,
혹시 이 감정이 일련의 사건들의 중첩되며 증폭되었는지 생각해봅니다.
이 전에 있었던 어떤 감정,
즉 1차적 감정이 지금의 이 감정을 촉발했는지,
마인드풀하게 감정을 관찰하고 기술해봅니다.
 
한 주동안 내 감정을 마인드풀하게 관찰하며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감정인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해 봅니다.
 
 

 

Class Plan: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Young Adult, Class Plan
 
2022-11-12 at 11AM
 
Leader: 조용범 박사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Homework Review: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2.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3. 감정조절 자료 6: 감정을 기술하는 방법 234 –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1. 혐오감
Today’s Lesson:
  1.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2.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Homework:
  1.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에 대해 자애로운 마음 갖기와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ㅣ청년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조용범 ㅣYong Cho, Ph.D.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잠시 눈을 지긋이 감고,

호흡에 집중하며 몸에 있는 긴장을 자각하고

손을 하늘을 향해 열어두고 호흡과 함께 긴장을 놓아봅니다.
 

이제 우리 자신을 보며,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참 힘들었지만, 잘 이겨내었어. 평안한 삶을 살수 있어. 참 잘했어!……”

 
이 세상에 버겁게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애로운 말을 합니다.
 
마음 속에 우리를 지금까지 힘들게 했던 사람을 떠올려봅니다.
 
그 사람으로 인해 우리 안에 일으키는 감정을 자각합니다.
 
그 감정을 겪는 우리를 바라봅니다. 힘든 감정을 겪는 우리 자신에게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그리고, 잠시라도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합니다.
 
“나를 너무 힘들게했어…. 얼마나 힘들면 그렇게 나에게 했을까….. 그 사람이 평안하기를…..”
 
자애로운 마음을 그 사람에게 전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자각합니다.
 
그리고 그런 나를 있는 그대로 수인합니다.
 
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 자애로운 마음을 내 안에 키웁니다.
 
……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갖는 힘든 일. 너무나 수고가 많았어.”
 
나 자신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하고 조용히 눈을 뜹니다.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

 
때때로 우리는 무슨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잘 모르고, 급격히 기분이 나빠지는 경험을 합니다.
짜증이 나고 화가나거나, 갑자기 나에게 잘 해주는 사람에게 차갑게 대하기도 합니다.
 
나와 친하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있을 때, 무언가를 요청했는데 상대방이 잘 들어주지 않을 때.
섭섭함이 느껴졌지만, 그냥 이 감정을 무시하고 애써 화를 안내려고 감정을 누르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다른 사람에게 또는 옆에 있는 동물이나 무생물에게 화풀이를 하기도 합니다.
 
감정이 폭발을 할 때에는 갑작스럽게 되기 보다는 일련의 여러가지 사건들이 점차 쌓여가며 증폭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주 사소한 일들.
나와 같이 있는 사람이 내 말에 귀를 기울여 주지 않는 일.
출근 길에 몸을 부딪치고 사과도 하지 않고 지나 가는 사람.
커피를 주문했는데, 나보다 늦게 온 사람에게 먼저 서빙을 하는 일.
 
그리고 얼마 뒤, 감정이 폭발합니다.
 
때로는 분노의 화신이 되어, 잘못 걸린 사람에게 모든 감정을 퍼붓기도 합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강렬한 감정을 느낄 때 이 감정이 현재의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것인지를 생각해 봅니다.
 
내 감정이 지금 이 상황에 적합한 것인가? 상대방에게 퍼부은 이 분노의 감정이 심한 것이었는가?
 
사실을 확인하며,
혹시 이 감정이 일련의 사건들의 중첩되며 증폭되었는지 생각해봅니다.
이 전에 있었던 어떤 감정,
즉 1차적 감정이 지금의 이 감정을 촉발했는지,
마인드풀하게 감정을 관찰하고 기술해봅니다.
 
한 주동안 내 감정을 마인드풀하게 관찰하며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감정인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해 봅니다.
 
 
 
Class Plan: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Young Adult, Class Plan
 
2022-11-12 at 11AM
 
Leader: 조용범 박사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Homework Review: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2.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3. 감정조절 자료 6: 감정을 기술하는 방법 234 –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1. 혐오감
Today’s Lesson:
  1.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2.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Homework:
  1.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더트리 심리클리닉 철학

조용범 박사와 치료진이 가고 있는 길은 고통스럽고 괴로운 사람들이 걷고 있는 길입니다.
더트리그룹 4개의 브렌치, 더트리 심리클리닉, DBT센터 한국본부, 액티브 러닝 센터, 그리고 더트리그룹 출판사는
괴로움의 길을 걷는 우리 모두를 돕는 손입니다.

조용범 박사님은 더트리그룹과 DBT 센터 한국본부를 설립한 창립자입니다.


그는 미국 뉴욕 주 심리학자이며, 
2000년 부터 경험과학적 기반이 있는 치료인 행동치료와 인지치료 및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2003년부터는 한국에서 한국어 및 영어권, 이중언어권 내담자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치료자이며 학자인 그는 인간의 고통과 괴로움, 자기 파괴적 행동 및 
종교와 심리학에 대해 연구하며 내담자들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지난 20여년 간 조용범 박사는 문화적으로 또 종교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치료해왔으며,
사회에서 적절한 심리학적 치료 기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의 이런 노력은 뉴욕타임즈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습니다.

 

그와 치료진에게 중요한 가치는

괴로움을 겪고 있는 내담자들에게

경험과학적 근거가 있는 과학적 심리치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School of Lifeㅣ액티브 러닝 센터 철학

2003년, 조용범 박사는 영어권 학교에서 언어습득이 되지 않아 모든 희망을 잃어버린 아이들을 저버리지 않았습니다.
조용범 박사와 치료팀은 이중언어권 심리교육적 평가와 치료라는 새로운 길을 찾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새로운 미래를 선물하고 있습니다.

봄을 기다리며,
빛의 색을 품은 씨앗들

 

꽃이 나무 사이에서
환하게 빛을 내며,
꽃잎을 피우는 시즌

 

생명이 시작하는 계절
진실의 계절
자유로움의 계절


아이들의 소리가 들린다

 

칭송받지 못한 아이들의 넘쳐나는 기쁨의 소리
깊은 곳에 숨어있는 행복의 소리들

 

우리는 그 소리를 듣는다


조용범 박사ㅣ미국 뉴욕주 심리학자, 더트리그룹 대표 심리학자

DBT 센터 한국본부의 설립 철학

2001년 부터 조용범 박사는 미국 뉴욕 The Zucker-Hillside Hospital에서
한국어권 이민자 대상으로 DBT 개인치료와 스킬훈련그룹 시작하였다.우리 모두는 인간이 갖고 있는 한계로 인해 마음의 괴로움을 겪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피할 수 없는 사실을 직면하고
내 마음, 내 마음의 고통과 괴로움을 줄여나가고 내 마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 자신입니다
조용범 박사ㅣ미국 뉴욕주 심리학자, 더트리그룹/ DBT 센터 한국본부 대표 심리학자

우리 모두는 인간이 갖고 있는 한계로 인해 마음의 괴로움을 겪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피할 수 없는 사실을 직면하고

내 마음, 내 마음의 고통과 괴로움을 줄여나가고
내 마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 자신입니다

조용범 박사ㅣDBT 센터 한국본부 대표 심리학자

일곱개의 방 조용범 박사의 글 저자 서문

1999년 가을, 뉴욕의 롱아일랜드 주이시 메디컬 센터Long  Island  Jewish Medical Center에서 임상수련을 받을 때였다. 내담자 가운데 눈에 띄는 여성이 있었다.

처음 보았을 때는 옷차림도 세련되고 지적 수준과 언어 구사 능력도 뛰어났기에, 대체 왜 이곳을 찾아왔을까 의아했다. 하지만 나는 심리치료를 진행하면서 그의 온몸에 숨겨진 자해의 흔적과 사랑에 굶주렸던 불행한 어린 시절, 그리고 오랜 기간 친척으로부터 당한 성폭행의 상처 등을 알게 되었다. 외면은 아름답지만 내면은 참을 수 없는 고통으로 얼룩져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어두운 밤 홀로 있을 때마다, 이 내담자는 극심한 분노와 감정의 격변을 느끼면서 스스로 몸과 마음을 해하고 있었다. 지난 17년 동안, 심리학자이자 심리치료자로서 나는 이와 비슷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수없이 만났다. 그리고 이들의 고통을 통해 인간의 진정한 모습과 불완전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심리치료는 서구에서 이미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낯선 분야다. 한국에서 심리치료에 대해 강의를 할 때면, 치료 과정을 신비스럽게만 여기거나 단편적으로 이해하는 이들을 만나게 된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심리치료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출발했다. 그래서 소설의 양식을 빌려 심리치료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고, 간접적으로나마 독자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극심한 감정조절장애와 경계선 성격장애 및 자기 파괴적 행동을 치료하는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하는 ‘지속노출 치료Prolonged Exposure Therapy, PE’, ‘섭식장애 치료’가 무엇이고,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는 실제 내담자들의 기록을 바탕으로 각색한 일곱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자신의 실제 경험을 글로 펴내는 데 기꺼이 동의해준 용감한 내담자들 덕분에, 이 책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이들은 꺼내놓고 싶지 않은 고통스러운 기억을 당당히 마주 보며, 의미 있는 치료의 전기를 마련해주었다. 부디 이들의 바람대로, 이 책을 통해 감당하기 어려운 심리적 고통을 겪는 많은 이들이 새로운 대안을 발견하고 심리치료에 대해 희망적 시각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


2016년 3월

조용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