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 이야기: 청소년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양미린 Mirin Yang, MA

‘일진’, ‘중2병’, ‘문제아’ 등 청소년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는 수식어가 우리 사회에서 사용된 것은 꽤나 오래 되었습니다.이런 표현들이 사용됨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해석도 가능하겠지만 과학적인 근거 역시 뒷받침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발달 신경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과 과학자들의 질문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충동성 및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행동에 대해 여러 원인 중에는 우리 뇌에서 집행 기능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측 선조체 ventral striatum의 활성화가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피임없는 성관계 등과 같은 행동을 설명할 때 언급되었던 점입니다. 하지만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의 Eva Telzer 박사는 Developmental SocialNeuroscience Lab에서 진행된 최근 연구를 통해 과거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된 복측 선조체의 신경 회로 변화가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벨트 착용, 평화로운 시위 참여 등 또래 간에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동에서 어른이 되는 변화는 단순하지 않기에 우리 뇌 역시도 이 시기동안 역동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 Yale University의Fundamentals of the Adolescent Brain Lab의 디렉터 BJ Casey 박사는 지금까지는 아동청소년의 뇌에 대해 연구할 때 성인 뇌 표본에 비추어 연구해왔으나 발달 신경 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마다 뇌의 변화 방식과 속도가 다름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에 학자들은 청소년의 위험감행 행동, 정서 반응 등 청소년 뇌에 대한 기존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함으로써 아이들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출처:

APA Monitor on Psychology

 

DBT Experiential Class 고통감내스킬 두번째 주

조용범 ㅣYong Cho, Ph.D.

DBT Experiential Class 고통감내스킬 두번째 주

 
일상에서의 위기에서 생존하기와 마인드풀니스
 
 
우리는 일상에서 평화로움과 안전함을 갖고자 합니다. 많은 교육과 노력으로 우리는 크고 작은 위기의 순간들을 비교적 잘 다루고, 스트레스 정도로 인식하며 때로는 잘 지나가기도 하고 가끔식은 힘든 시간을 갖기도 합니다.
 
이번 한 주 동안은 이러한 크고 작은 위기를 마인드풀하게 잘 관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얼마나 많은 일들이, 얼마나 많은 사건들이 우리의 감정에 다가오는지, 있는 그대로, 그 감정을 잊으려고도 애써 괜찮아 하려고도 하지 말고, 그대로 무판단적인 마음으로 관찰하고, 기술해봅니다.
 
치료자로써 내담자와 환자들을 돌보고자 하는 정결한 마음이 얼마나 상처를 받고 있는지, 우리의 감정을 지혜로운 마음으로 살핍니다.
 
우리의 감정적 자극이 어떤 행동충동을 일으키나요?
 
지금 무슨 행동을 하고 싶은지 그 충동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관찰해 봅니다.
 
그리고, 잠시 그 모든 행동을 중단하고, 호흡과 함께 한 걸음 물러서 봅니다. 너무나 힘들고 충동을 억제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숨을 고르며 자각합니다.
 
하나…. 둘…. 셋…..넷……. 다섯……….
 
우리의 마음을 있는 그대로 관찰합니다.
 
이제 끊어오르는 감정적 마음에서 나오는 행동충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의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 합리적 마음으로 기술해 봅니다.
 
그리고 지혜로운 마음에서 나오는 그 순간에 가장 효과적인 행동이 무엇인지 귀를 기울여봅니다.
 
그리고
 
그 행동을 마인드풀하게 하나씩 해 나갑니다.
 
STOP
.
.
.
Breath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ABC PLEASE 스킬ㅣ성인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채송희ㅣSonghee Chae, M.A.

ABC PLEASE 스킬

앞서 배웠던 ‘감정 이해하고 이름붙이기’와 ‘감정적 반응 변화시키기’ 세트에 이어 배우게 되는 ‘감정적 마음으로 가는 유약성 줄이기’ 세트는 ABC PLEASE 스킬로 시작합니다.

이 스킬을 통해 우리는 일상적 생활을 잘 디자인해서 고통스러운 감정에 덜 유약하게 하고, 덜 민감해지게 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부정적 감정과 기분상태를 만들어내는 유약성 요인을 줄이면 감정적 고통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특정 상황에서 고통스러운 감정에 더 유약해질 수 있습니다. 유약해지면 고통스러운 감정을 촉발하는 사건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로 효과적이지 않은 행동을 하거나 어떠한 부정적 사건이 나타나게 되면, 악순환되어 더욱 유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감정적 마음으로 가는 유약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ABC PLEASE를 기억하세요!


A 긍정적 경험을 쌓고,

B 숙련감을 쌓으며,

C 감정적 상황에 미리 대비하도록 합니다. 


PL 아픈 곳을 치료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A 기분을 인위적으로 바꾸는 약물을 금합니다.

S 양질의 수면을 취하고 

E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채송희 심리치료전문가,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서울에서 데이 리트리트를 하다ㅣ DAY RETREAT @ Seoul

DAY RETREAT @ SEOUL  2022.12.11. 더트리그룹 DBT 센터 한국본부

 

“우리의 고통은 어디에서 오는가?”

“타인의 마음의 괴로움을 덜어주고자 하는 전문가들이 가진 Karma는 무엇인가?”

 

무상사 대봉스님과 법화스님께서 DBT 센터 한국본부에 소중한 걸음을 해주셨습니다. 전문가를 위한 DBT Experiential Class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분들과 가족분들, DBT와 Mindfulness에 관심있으신 분들과 함께 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오직 모를 뿐”의 마음가짐. 소중한 하루의 리트리트를 통해 마음을 정결하게, 머리를 명확하게 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우리 머리에는 몇 개의 머리카락이 있을까?” 던져 주신 화두를 떠올리며 다음번 데이 리트리트를 기약합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원격 DBT 스킬훈련

채송희ㅣSonghee Chae, M.A.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우울과 불안 및 감정조절 장애
배우자와 보호자의 말없는 괴로움
DBT 치료가 이러한 고통을 겪는 분들에게
작은 희망이 될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와 배우자는 신체적 고통으로 인해 우울증과 불안, 감정조절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증상을 호소하게 되면 보호자 역시 수 많은 정서적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최근 미국에서 Botanov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원격으로 진행한 DBT 스킬훈련의 효과에 대한 파일럿 연구가 있었습니다.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DBT 치료전문가가 DBT 마인드풀니스 스킬과 대인관계 스킬, 감정조절 스킬과 자문 팀 세션 및 회기 간 코칭을 진행하였고, 다른 그룹은 역시 전문가에 의해 일반적인 지지적 촉진그룹을 진행하였습니다. 모든 그룹은 원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치료 진행 12주 뒤와 26주 뒤 효과 검증을 하였는데, DBT 스킬훈련을 받은 커플 그룹은 대인관계 증진과 만족도 상승에 DBT 스킬훈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초기 연구에는 고통감내스킬이 포함되지 않았고 원격이라는 한계가 있었으며, DBT 스탠더드 프로그램보다는 짧은 기간 동안 진행이 된 것이었습니다.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DBT 치료 프로그램이 다발성 경화증 환자와 배우자, 보호자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이들의 감정조절 문제와 정서적 문제를 DBT를 통해 어떻게 완화되는지 연구를 통해 밝혀져 많은 다발성 경화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채송희 심리치료전문가,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NOW

DBT NOW 포스트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최신의 DBT 치료 연구와 다양한 학술적 소식들을 나누는 포스트입니다.
woman on black folding wheelchair

문제 해결하기 vs 정반대 행동하기ㅣ성인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채송희ㅣSonghee Chae, M.A.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이번 주에는 ‘생각 쓰기 마인드풀니스’를 함께 연습해보았습니다.  

언제나 마인드풀니스는 차분한 호흡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종이과 펜을 드는 순간 순간 하나 하나의 행동을 모두 관찰하며 준비해봅니다.
 
약2분간 머리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하나 하나 글로 옮겨적어 보았습니다. 하나의 생각이 떠오르면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판단하는 마음은 지나가게 하고, 이미지가 떠올랐다면 그리거나 글로 묘사하는 마인드풀니스입니다. 
 

“어떤 생각을 해야 하지?”

“뭔가 멋진 생각이 떠올라야 할텐데..”

“사람들이 내 생각을 이상하게 여기면 어떻게 하지?”

“왜 나는 남들과 달리 이런 생각을 할까?”

“점심에 뭘 먹을까?”

“허리가 불편하게 느껴지네..”

“글씨를 잘못 썼구나. 고쳐야겠어..”

 

각자 자신의 머리 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하나하나 알아차리는 경험을 통해, 우리는 잠깐의 순간에 얼마나 많은 생각과 감정이 떠오르고 지나가는지 다시금 알게 됩니다.  

 

 

정반대 행동하기 VS 문제 해결하기

 

 

‘사실 확인하기’ 스킬만으로도 감정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때로는 진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감정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으로 이 스킬만으로 원하지 않는 감정이 변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정반대 행동하기’와 ‘문제 해결하기’ 스킬 중 어떤 스킬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스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순서도를 따라 가면 어떤 스킬이 적합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게 됩니다.

 

‘문제 해결하기’는 감정을 촉발한 사건을 회피하거나 수정, 해결함으로써 감정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정반대 행동하기’는 감정적으로 무언가를 하고 싶은 충동에 정반대되는 행동을 함으로써 우리의 감정을 바꾸는 스킬입니다.

 

원치 않는 감정을 겪고 있을 때 습관적으로 감정 충동에 따르는 행동을 하기보다는,

이를 마인드풀하게 알아차리고, 스킬을 사용하여 현재와 미래를 변화시켜봅니다.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Adults Lesson Plan

 

2022/11/11 Sat 11am

Leader: Songhee Chae, M.A.

Co-leader: –

 

Mindfulness: 생각 쓰기 마인드풀니스

 

Review of Homework Practice:

  • 감정조절 워크시트 5: 사실 확인하기

Lesson

  • 감정조절 자료 9: 정반대 행동하기와 문제 해결하기: 어떤 스킬을 사용할지에 대한 결정
  • 감정조절 자료 10. 정반대 행동하기
  • 감정조절 자료 11. 정반대 행동 이해하기

Homework:

  • 감정조절 워크시트 5: 사실 확인하기
  • 감정조절 워크시트 6: 원치 않는 감정을 바꾸는 방법 파악하기
  • 감정조절 워크시트 7: 감정을 바꾸기 위한 정반대 행동하기

채송희 심리치료전문가,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에 대해 자애로운 마음 갖기와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ㅣ청년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조용범 ㅣYong Cho, Ph.D.

오늘이 마인드풀니스


잠시 눈을 지긋이 감고,

호흡에 집중하며 몸에 있는 긴장을 자각하고

손을 하늘을 향해 열어두고 호흡과 함께 긴장을 놓아봅니다.
 

이제 우리 자신을 보며,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참 힘들었지만, 잘 이겨내었어. 평안한 삶을 살수 있어. 참 잘했어!……”

 
이 세상에 버겁게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애로운 말을 합니다.
 
마음 속에 우리를 지금까지 힘들게 했던 사람을 떠올려봅니다.
 
그 사람으로 인해 우리 안에 일으키는 감정을 자각합니다.
 
그 감정을 겪는 우리를 바라봅니다. 힘든 감정을 겪는 우리 자신에게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그리고, 잠시라도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합니다.
 
“나를 너무 힘들게했어…. 얼마나 힘들면 그렇게 나에게 했을까….. 그 사람이 평안하기를…..”
 
자애로운 마음을 그 사람에게 전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자각합니다.
 
그리고 그런 나를 있는 그대로 수인합니다.
 
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 자애로운 마음을 내 안에 키웁니다.
 
……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갖는 힘든 일. 너무나 수고가 많았어.”
 
나 자신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하고 조용히 눈을 뜹니다.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

 
때때로 우리는 무슨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잘 모르고, 급격히 기분이 나빠지는 경험을 합니다.
짜증이 나고 화가나거나, 갑자기 나에게 잘 해주는 사람에게 차갑게 대하기도 합니다.
 
나와 친하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있을 때, 무언가를 요청했는데 상대방이 잘 들어주지 않을 때.
섭섭함이 느껴졌지만, 그냥 이 감정을 무시하고 애써 화를 안내려고 감정을 누르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다른 사람에게 또는 옆에 있는 동물이나 무생물에게 화풀이를 하기도 합니다.
 
감정이 폭발을 할 때에는 갑작스럽게 되기 보다는 일련의 여러가지 사건들이 점차 쌓여가며 증폭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주 사소한 일들.
나와 같이 있는 사람이 내 말에 귀를 기울여 주지 않는 일.
출근 길에 몸을 부딪치고 사과도 하지 않고 지나 가는 사람.
커피를 주문했는데, 나보다 늦게 온 사람에게 먼저 서빙을 하는 일.
 
그리고 얼마 뒤, 감정이 폭발합니다.
 
때로는 분노의 화신이 되어, 잘못 걸린 사람에게 모든 감정을 퍼붓기도 합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강렬한 감정을 느낄 때 이 감정이 현재의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것인지를 생각해 봅니다.
 
내 감정이 지금 이 상황에 적합한 것인가? 상대방에게 퍼부은 이 분노의 감정이 심한 것이었는가?
 
사실을 확인하며,
혹시 이 감정이 일련의 사건들의 중첩되며 증폭되었는지 생각해봅니다.
이 전에 있었던 어떤 감정,
즉 1차적 감정이 지금의 이 감정을 촉발했는지,
마인드풀하게 감정을 관찰하고 기술해봅니다.
 
한 주동안 내 감정을 마인드풀하게 관찰하며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감정인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해 봅니다.
 
 

 

Class Plan: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Young Adult, Class Plan
 
2022-11-12 at 11AM
 
Leader: 조용범 박사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Homework Review: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2.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3. 감정조절 자료 6: 감정을 기술하는 방법 234 –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1. 혐오감
Today’s Lesson:
  1.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2.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Homework:
  1.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영어권 언어발달과 자신감 키우기: 히어로처럼 큰 목소리로 멋있게 발표해요

"영어권 음소와 음성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언어발달 지연을 일으키는가?

언어발달 지연에 대한 치료전략 연구와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임상적 치료 병행"
김예경ㅣYekyung Kim, BSc.
“I’m going to present what I learned today in class.”
 

자신있게 발표하는 한 아이의 큰 목소리가 들립니다. 선생님들, 부모님, 친구들과 같이 다양한 사람들 앞에서 멋있게 발표하는 이 아이는 지난 한 해 동안 성장하며 놀라운 임상적, 심리교육적 목표를 달성하였습니다.

 

영어권인 명랑하고 착한 아이는 주변 사람들이 어떤 질문을거나 대화를 시도하면 말을 잘 하지 않고, 무언가 힘들어 하는 모습을 많이 보였습니다. 영어권 심리교육적 평가 결과에서는 아이가 전반적인 영어권 언어발달이 잘 진행되지 않았고, 듣는 음소에 대한 인식과 보는 음성에 대한 인식 (phonemic awareness & phonetic recognition)에 어려움을 보여 수 년동안 해외에서 언어치료를 받아온 아이였습니다.

 

처음에는 /r/ 소리와 /th/ 소리 발음이 들어간 단어를 들려주었을 때 올바르게 발음하거나 철자로 쓰는 것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고, 그 외에도 많은 음운들이 혼돈되어 아이의 기초 언어 습득을 방해하고 있었습니다. 이 아이에게는 말로 표현할 때 들리는 개별적인 소리들과 의미와의 관계 그리고 써있는 문자와의 연결성을 습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심리교육적 전략이 필요하였습니다.

 

School of Life 액티브 러닝센터에서는 아이를 위한 개별화된 심리교육적 전략을 연구하여 아이에게 적용하고 습득시켰고, 아이는 이러한 언어의 기초단위인 소리와 의미, 문자와 소리 등에 대한 구분을 하나씩 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체된 언어 능력을 증진시키면서 어느덧, 학습 내용을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단계까지 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들 앞에서 잘하던 아이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는 이전에 보이던 소극적이고 주눅들어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분석을 해보니 아이는 오랜 기간동안 어려운 상황이나 질문이 주어졌을 때, 잘 이해를 하지 못하고 응답도 하지 못하였고, 이 순간에는 결국 어른들이 아이 대신 답하는 행동패턴이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대신해주게 되니, 아이는 반복적인 무력감, 자존감 저하와 비협조적인 행동문제가 같이 나타났던 것입니다.

 

이렇게 언어발달 지연은 정서적 어려움과 행동적 어려움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언어문제에 대한 치료 뿐 아니라, 이와 수반된 행동정서 문제에 대한 치료가 같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이는 세션에서 배운 내용을 충분히 연습시켜 숙련도를 높인 후에는 노출전략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직접 쓴 글의 문자와 문자가 내는 소리를 눈으로 보고, 인지하고, 입으로 소리 내어 자신있게 발표하면서 언급했던 문제 행동들을 증진시킬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작은 목소리로 발표하던 모습은 없어지고, 이제 아이의 자신감 넘치는 큰 목소리가 울립니다. 선생님들과 가족들과 즐겁게 대화하며 밝은 모습을 찾은 아이는 더 이상 어려운 상황을 회피하지 않고 이겨낼 수 있는 전략을 함께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김예경ㅣ액티브러닝 코디네이터, 액티브러닝 센터 / 더트리그룹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에 대해 자애로운 마음 갖기와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ㅣ청년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조용범 ㅣYong Cho, Ph.D.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잠시 눈을 지긋이 감고,

호흡에 집중하며 몸에 있는 긴장을 자각하고

손을 하늘을 향해 열어두고 호흡과 함께 긴장을 놓아봅니다.
 

이제 우리 자신을 보며,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참 힘들었지만, 잘 이겨내었어. 평안한 삶을 살수 있어. 참 잘했어!……”

 
이 세상에 버겁게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애로운 말을 합니다.
 
마음 속에 우리를 지금까지 힘들게 했던 사람을 떠올려봅니다.
 
그 사람으로 인해 우리 안에 일으키는 감정을 자각합니다.
 
그 감정을 겪는 우리를 바라봅니다. 힘든 감정을 겪는 우리 자신에게 자애로운 말을 전합니다.
 
그리고, 잠시라도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합니다.
 
“나를 너무 힘들게했어…. 얼마나 힘들면 그렇게 나에게 했을까….. 그 사람이 평안하기를…..”
 
자애로운 마음을 그 사람에게 전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자각합니다.
 
그리고 그런 나를 있는 그대로 수인합니다.
 
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을 위해 자애로운 마음을 내 안에 키웁니다.
 
……
 
“그 사람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갖는 힘든 일. 너무나 수고가 많았어.”
 
나 자신에게 자애로운 마음을 전하고 조용히 눈을 뜹니다.
 
 
 

내 감정에 대한 사실 확인하기

 
때때로 우리는 무슨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잘 모르고, 급격히 기분이 나빠지는 경험을 합니다.
짜증이 나고 화가나거나, 갑자기 나에게 잘 해주는 사람에게 차갑게 대하기도 합니다.
 
나와 친하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있을 때, 무언가를 요청했는데 상대방이 잘 들어주지 않을 때.
섭섭함이 느껴졌지만, 그냥 이 감정을 무시하고 애써 화를 안내려고 감정을 누르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다른 사람에게 또는 옆에 있는 동물이나 무생물에게 화풀이를 하기도 합니다.
 
감정이 폭발을 할 때에는 갑작스럽게 되기 보다는 일련의 여러가지 사건들이 점차 쌓여가며 증폭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주 사소한 일들.
나와 같이 있는 사람이 내 말에 귀를 기울여 주지 않는 일.
출근 길에 몸을 부딪치고 사과도 하지 않고 지나 가는 사람.
커피를 주문했는데, 나보다 늦게 온 사람에게 먼저 서빙을 하는 일.
 
그리고 얼마 뒤, 감정이 폭발합니다.
 
때로는 분노의 화신이 되어, 잘못 걸린 사람에게 모든 감정을 퍼붓기도 합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강렬한 감정을 느낄 때 이 감정이 현재의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것인지를 생각해 봅니다.
 
내 감정이 지금 이 상황에 적합한 것인가? 상대방에게 퍼부은 이 분노의 감정이 심한 것이었는가?
 
사실을 확인하며,
혹시 이 감정이 일련의 사건들의 중첩되며 증폭되었는지 생각해봅니다.
이 전에 있었던 어떤 감정,
즉 1차적 감정이 지금의 이 감정을 촉발했는지,
마인드풀하게 감정을 관찰하고 기술해봅니다.
 
한 주동안 내 감정을 마인드풀하게 관찰하며 사실이나 상황에 합당한 감정인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해 봅니다.
 
 
 
Class Plan: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Young Adult, Class Plan
 
2022-11-12 at 11AM
 
Leader: 조용범 박사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Homework Review:
  1. 자애로운 마음갖기 마인드풀니스
  2.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3. 감정조절 자료 6: 감정을 기술하는 방법 234 –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1. 혐오감
Today’s Lesson:
  1. 감정조절 자료 5: 감정 기술 모델 233 (감정조절 워크시트 4 4a. 301-302
  2.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Homework:
  1.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248
    1. 한주간 떠오른 나의 감정이 사실과 상황에 부합하고 정당한 것인지 관찰하기
 

조용범 박사ㅣ대표 심리학자,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매뉴얼 역자

사실 확인하기ㅣ성인을 위한 DBT 스킬훈련 클래스

채송희ㅣSonghee Chae, M.A.
오늘의 마인드풀니스

    지난 주에 이어 ‘앉아서 하는 마인드풀니스’ 두 번째 시간을 가졌습니다.

허리와 머리를 일직선에 두고 호흡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내 잡념에 휩싸이고, 감정이 일어나서 집중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다시, 또 다시 지금 이 순간의 생각, 감정, 감각으로 돌아오는 연습을 통해 호흡이 차분해 지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호흡의 시작과 끝을 배꼽 아래에 두는 연습을 하며 마음의 중심을 지혜로운 마음으로 가져가 봅니다.

사실 확인하기

우리는 어떠한 사건에 대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생각과 감정, 감각을 사실로 여기며 살아갑니다.
이렇게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지 못하면 나의 주관과 의견에 사로잡혀 괴로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감정이 일어나는 과정을 자각하며, 나의 감정이 사실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연습해보세요.

“사건 -> 생각 -> 감정”

먼저 변화시키고자 하는 감정을 자각하고, 촉발사건과 이에 대한 해석이나 가정을 살펴보며 다양한 관점으로 도전해보는 겁니다.
여기까지 마쳤다면 어떠한 것이 나에게 위협으로 다가왔는지 가만히 들여다 보세요.
역시 위협이라고 여겨지는 생각에 대해서 도전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자신이 두려워하는 재앙적 상황을 떠올리고, 이 상황에 놓였다고 가정하며 잘 대처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이제 나의 감정과 감정의 강도가 사실에 부합하는지 점검해보세요.

여러분이 현재 느끼고 있는 감정은 사실에 부합하나요?
 

DBT Skills Training Group for Adults Lesson Plan


2022/11/4 Sat 11am
Leader: Songhee Chae, M.A.
Co-leader: –
Mindfulness: Sitting Mindfulness 2
 
Review of Homework Practice:
  • 수치감의 촉발사건과 해석, 신체적 경험을 비를 온 몸으로 맞으며 받아들이듯이 회피하지 않고 10-15분간 경험하기
  • 이때 sitting mindfulness 를 적용해보기
  • 죄책감을 느꼈던 사건에 대해서 리페어하기
Lesson:
  • 감정조절 자료 7: 감정적 반응 변화시키기 개요
  • 감정조절 자료 8. 사실 확인하기
  • 감정조절 자료 8A. 사실에 부합하는 감정 반응의 예
Homework:
  • 감정조절 워크시트 5: 사실 확인하기

채송희 심리치료전문가, DBT센터 한국본부/더트리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