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 이야기: 청소년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양미린 Mirin Yang, MA

‘일진’, ‘중2병’, ‘문제아’ 등 청소년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는 수식어가 우리 사회에서 사용된 것은 꽤나 오래 되었습니다.이런 표현들이 사용됨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해석도 가능하겠지만 과학적인 근거 역시 뒷받침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발달 신경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과 과학자들의 질문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충동성 및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민감성과 관련된 행동에 대해 여러 원인 중에는 우리 뇌에서 집행 기능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측 선조체 ventral striatum의 활성화가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피임없는 성관계 등과 같은 행동을 설명할 때 언급되었던 점입니다. 하지만 University of North Carolina의 Eva Telzer 박사는 Developmental SocialNeuroscience Lab에서 진행된 최근 연구를 통해 과거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된 복측 선조체의 신경 회로 변화가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벨트 착용, 평화로운 시위 참여 등 또래 간에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아동에서 어른이 되는 변화는 단순하지 않기에 우리 뇌 역시도 이 시기동안 역동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 Yale University의Fundamentals of the Adolescent Brain Lab의 디렉터 BJ Casey 박사는 지금까지는 아동청소년의 뇌에 대해 연구할 때 성인 뇌 표본에 비추어 연구해왔으나 발달 신경 과학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마다 뇌의 변화 방식과 속도가 다름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에 학자들은 청소년의 위험감행 행동, 정서 반응 등 청소년 뇌에 대한 기존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진행함으로써 아이들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아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한 사회적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출처:

APA Monitor on Psychology

 

아동청소년의 포르노그래피 해석력과 자기결정능력

양미린 Mirin Yang, MSc
집안 장롱 한구석 제목 없는 비디오를 어렵게 찾아 부모님이 계시지 않을 때 몰래 보던 시절을 지나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몇 번 안되는 클릭 수 혹은 검색으로 아주 쉽게 포르노그래피를 접하게 됩니다. 포르노가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오랫동안 진행되었고 저마다 엇갈리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지만 대다수의 포르노그래피 콘텐츠가 성(性; sexuality)을 왜곡되게 표현한다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포르노그래피 해석력은 아동청소년들이 포르노그래피 콘텐츠와 제작되는 배경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궁극적으로 성 관련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건강한 성 의식의 발달을 목표로 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이 자신의 성적 사고/행동에 책임감을 가지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자율적인 성적 자기결정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는 것을 기대합니다. 심리학, 성교육,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요즘 아동청소년들이 이전의 통념적인 발달과정에서 벗어나 빠른 성 의식 발달, 성적 조기성숙의 변화를 겪는 것과 더불어 이른 나이에 IT 기술 및 미디어에 노출되어 성범죄의 주된 표적이 되는 상황을 염려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콘텐츠, IT 기기 사용에 연령제한을 두는 것으로 장기적인 효과 (long-term effect)를 기대하긴 어렵기 때문에 이들은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 바로 포르노그래피 해석력(porn literacy)의 증진입니다.

포르노그래피 해석력은 아동청소년들이 포르노그래피 콘텐츠와 제작되는 배경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궁극적으로 성 관련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건강한 성 의식의 발달을 목표로 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이 자신의 성적 사고/행동에 책임감을 가지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자율적인 성적 자기결정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는 것을 기대합니다.

성적 자기결정능력(sexual self-determination capability)을 갖추기 위해서는 성적 행동들을 알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 행위가 각기 다른 상황적 맥락에서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이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비로소 합리적인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에서는 성에 대해 자유롭게 논하고 배울 수 있는 분위기가 쉽게 조성되고 있지 않습니다. 학교와 집에서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기에 포르노그래피가 아이들의 성교육의 주요 매체가 되고 있고 아이들은 이에 대한 맥락적 정보가 없어 성에 대해 그릇된 해석을 하게 됩니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공립학교에서 성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성교육 프로그램마다 커리큘럼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프로그램에는 포르노그래피 관련 역사, 법률, 성규범, 성적 이중잣대, 건강한 이성관계, 피임 방법 등에 대해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포르노그래피 해석력에 대해 다루고 훈련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동청소년들이 성범죄의 가해자 혹은 피해자인 뉴스가 끊이지 않고 우리는 이런 뉴스에 분개하고 당사자들과 보호자들을 강하게 비난하곤 합니다. 우리 사회는 관련 법률을 논의하는 등 여러 해결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것이 장기적으로 과연 효과적인지 신중히 고민해 보아야 합니다. 설명하기 난감하고 어렵다는 이유로 혹은 아이들을 유해한 내용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아이들의 성적 자기 결정능력 발달 기회를 우리 어른들이 앗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는 시간을 제안해 봅니다.

출처:

APA Monitor on Psychology

이정민이수정염현이 (2020). 아동청소년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령추 정 연구이화젠더법학, 12(2), 95-133.

수면위생과 정신병리의 관계성

양미린 Mirin Yang, MSc

만성적인 수면 부족과 질병의 상관관계는 오랜 시간 동안 연구되어 온 주제입니다. 만성 수면 부족은 비만, 심장 질환, 2형 당뇨병, 그리고 면역 저하 등 다양한 질병과의 연관성이 있고 권장 수면 시간보다 잠이 부족하거나 과도한 경우, 수면 시간은 사망의 중요한 예측변수(predictor)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수면장애는 사회, 운동, 인지 스킬을 저해하면서 자살 위험, 우울증 등 여러 정신 질환을 예측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DSM-V)에서의 수면-각성장애는 다음과 같은 10개의 장애 또는 장애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불면장애, 과다수면장애, 기면증, 호흡관련 수면장애, 일주기리듬 수면-각성장애, 비급속안구운동(NREM)수면 각성장애, 악몽장애, 급속안구(REM)수면 행동장애, 하지불안 증후군, 물질/치료약물로 유발된 수면 장애. 이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불면장애는 수면 개시, 수면 유지, 혹은 이른 아침에 각성하여 다시 잠들기를 어려워하는 증상과 연관됩니다.

 

우리는 보통

(1)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 놓였을 때

(2) 사회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3) 그리고 규칙적인 일상이 깨져버렸을 때 불면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Susan Rubman 임상심리학 박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재택 시간/상황이 늘어남에 따라 휴식과 침실처럼 휴식을 취하는 공간의 인지적 및 행동적 연관성이 약화될 수 있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충분한 햇빛을 보지 못하고, 전자기기에 오랫동안 노출되고, 불규칙적으로 식사를 하고, 알코올 섭취량이 늘어나는 등 이 모든 행동들은 생체리듬에 영향을 주어 집에서 일하고 공부하는 사람들의 수면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수면 장애는 인지행동치료로 (CBT) 치료적 개입이 가능하며 개인의 수면을 방해하는 인지적 및 행동적 방해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수면 위생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수면 위생을 지키기 위한 지침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밤에는 조용하고, 어둡고, 약간 서늘하다 싶은 침실 환경을 조성합니다.
  • 추가적으로 백색소음을 틀어 놓거나 방을 더 어둡게 만드는 블라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침실에서 업무를 하거나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고 휴식이 길어지는 경우 침실을 나가도록 합니다. 전자 기기에서 나오는 불빛은 수면 개시에 방해를 줄 수 있고 침실과 각성의 인지적 및 행동적 연관성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면 문제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단순히 생물학적 현상(biology)이 아닌 하나의 행동(behavior)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수면장애는 양극성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같은 다른 임상적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면장애 치료를 통해 정신질환 삽화의 진행을 선제적으로 막거나 진행된 삽화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약화시키는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수면을 방해하는 인지적 및 행동적 요인들을 파악해서 문제적 행동양식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수면 위생을 철저히 지켜 위드 코로나(With Corona)와 함께 건강한 일상을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DSM-V),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번아웃 증후군

양미린 Mirin Yang, MSc
Untitled_Artwork 5

번아웃 증후군 이제 우리 일상에서 한 개인이 느끼는 모든 스트레스, 불만감과 탈진 상태를 가장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표현으로 용 되고 있습니다. 극심한 피로감스트레스, 우울감의 유의어로 사용 되고 있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번아웃 증후군을 의학적으로 진단 가능한 질병으로 분류하는 대신 직업적 현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크게 세 가지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만성적인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 반응

 

(2) 직무에 대한 부정적, 냉소적, 적대적인 생각과 태도의 증가

 

(3) 부정적인 자아관 형성과 함께 직무 효율이 감소 

 

이 현상은 만성적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효과적으로 처리되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으로 물론 개인이 이를 극복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 그룹 구성단위로 해결되며 함께 일하는 팀, 더 나아가서는 회사 / 직장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근로자들의 번아웃 증후군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에서 4일 근무제, 자율 출퇴근제, 휴가일 수 연장, 야근 방지 프로그램, 직장 복지 지원 프로그램 등 여러 방안을 실험하고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Christina Maslach 심리학 박사는 번아웃 증후군에 대처 (coping) 하는 것과 방지 (prevention) 하는 것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얘기합니다. 우리는 업무를 중단하고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휴가를 감으로써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대처하고자 하지만 근본적인 근로환경 (workplace) 및 조건 (job condition)은 해결되지 않아 어려움을 반복하게 됩니다. 실제로 개인과 직업의 상관관계에 대한 주장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의 주요 영역에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 번아웃 증후군을 겪을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발표했습니다.

 

1. 업무량과 자원 (workload and resourcce)

: 업무량은 많지만 시간적, 정보적, 기술적 자원의 결핍으로 인해 완성하지 못하는 경우

 

2. 업무 통제력 (control/ discretion over work)

: 업무를 진행하는 사람으로서 갖는 자유재량, 통제량이 없는 경우

 

3. 보상과 인정 (social and intrinsic rewards/ recognition)

: 급여 지금/ 인상과 별개로 업무를 성공적으로 완결한 것에 대해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경우

 

4. 직장 커뮤니티 (community)

: 상사, 직장 선후배, 클라이언트와의 모든 관계가 포함되는 커뮤니티에서 문제 해결 혹은 개선을 이해, 지지를 받거나 함께 노력하지 않는 경우, 직장 내 소외되거나 괴롭힘을 당하는 경우

 

5. 공정성 (fairness)

: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 경우 (예, 유리천장 사례, 차별, 속임수)

 

6. 업무의 가치와 의미 (values and meaning of the work)

: 직업에 대해 가치와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스스로 확신을 갖지 못하다고 느끼는 일을 하는 경우

 

번아웃 증후군을 겪는 많은 사람들이 “지금 내가 무언가 잘못하고 있는 걸까?”, “내가 어떻게 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라고 자문하며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나 자신에게서 찾아 대처하려고 합니다. 이는 결코 잘못된 행동은 아니지만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나”에게서만 과도하게 찾으면서 자존감과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스스로를 다독이고, 주변을 관찰하며 여유를 찾으시길 바랍니다.   

 

 출처: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monitor

흥미로운 심리학: 트라우마와 노화현상

학자들과 치료자들은 그 동안 트라우마가 우리 마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이 생각해 왔는데요.
우리 몸과 뇌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채송희 Songhee Chae, MA

더트리그룹에서는 트라우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분들께 전문 심리치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DBT(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와 PE(지속노출치료)를 통해서 고통을 줄이고 삶의 희망을 다시 찾아가는 여정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학자들과 치료자들은 그 동안 트라우마가 우리 마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이 생각해 왔는데요. 우리 몸과 뇌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심리학 연구에서 트라우마를 경험하는 것이 신체의 노화현상을 가속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어린 시절 겪은 트라우마가 생물학적 노화현상을 빠르게 만드는 것과 연관이 있다는 메타연구가 Psychological Bulletin에 소개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트라우마의 종류를 2가지로 크게 구분했는데요. 하나는 위협과 관련된 트라우마(threat-related trauma)이고 또 다른 하나는 박탈에 관한 트라우마(deprivation- related trauma)였습니다. 위협 트라우마는 폭력의 피해를 입거나 목격한 것 등이 포함되어 있고, 박탈 트라우마에는 가족이나 학교 등에 의해서 보호받지 못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생물학적 노화 현상은 사춘기의 시작과 두뇌 발달, 그리고 세포 노화의 3가지로 살펴보았습니다. 

 

연구결과는 어린 시절 위협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은 사춘기를 더 어린 나이에 시작하게 되어 세포 노화가 빨라지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위협과 박탈 트라우마를 모두 겪은 사람들은 대뇌피질 두께의 얇아짐(Cortical Thinning) 현상이 더 많이 또는 더 빨리 나타나는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피질 얇아짐 현상은 뇌의 신경학적 노화의 대표적 증상입니다. 어린 시절에 겪은 트라우마는 마음 뿐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주변에 어린아이들이 안전한지 살필수있는 책임감을 모두 가지게 되면 좋겠습니다. 

 

어린 시절 환경으로 부터 아픔을 경험한 여러분들이 과학적인 심리치료의 도움으로 나아지는 모습을 보면서, 누구도 트라우마를 겪지 않는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가 되기를 바라고, 트라우마를 겪었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자신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지속노출치료 #트라우마치료 #PTSD #다이어렉티컬행동치료 #DBT #더트리그룹 

출처:

 Monitor on Psychology, APA 

ASD 아이들의 첫 학습 경험

김예경 Yekyung Kim, BSc.

Q: ASD (Autism Spectrum Disorder, 자폐성 스팩트럼 장애) 가 의심 되어 더트리그룹에 오게 되었고 액티브 러닝 프로그램 (Active Learning Program) 참여 권유를 받았습니다. 아이가 처음 접하게 될 학습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A: ASD로 진단이 되는 아이들은 대부분 자신의 나이와 같은 학년에 적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언어발달 지연문제가 같이 있는 경우 학년에 맞는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적으로 해야할 것은 전문적인 심리교육적 평가를 통해 아이의 인지능력과 학습능력 및 정서/행동 발달에 대한 검사를 통해 ASD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이중언어권 종합 심리교육 평가 (Comprehensive Psycho-educational Assessment)를 통해 ASD 진단이 내려지면 사전 치료기간을 거쳐 인지/학습/정서/행동/사회성 등의 영역에서 문제행동을 분석하여 임상치료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치료적 전략이 만들어집니다. 

 

1차로 주의집중을 하지 못하여 지시사항을 따르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 또는 강박적 과몰입이 문제인 경우는 우선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행동치료적 접근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 때 언어발달이나 학습진행을 위한 자료를 수업 중 사용하게 됩니다. 1차적인 심각한 임상문제가 통제가 되기 시작하면, 2차적으로 학습지연이나 언어발달 지연을 일으키는 필수지식이나 학습을 할 수 있는 기초 스킬들을 습관화시키게 됩니다. 

 

행동분석을 통한 임상적 치료전략과 함께 아이의 발달상황과 문제행동을 면밀히 행동분석 (Behavioral Analysis)을 하여 개인화된 심리교육적 계획 (Individualized Psycho-educational Plan)을 만들고 이에 따라 일대일 교육을 시작합니다. 아이의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긴급한 1차 증상에 대한 치료 이후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 기법을 적용한 교육을 진행합니다. 특히 3세부터 7세까지 반드시 필요한 기초적인 학습적 지식과 인지능력과 학술스킬들이 부족하거나 습득이 안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행동분석적 커리큘럼에 따라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이문화간 능력, Intercultural Competence(ICC)

"성공적인 이문화간 소통에 있어서 원어민처럼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며
다음 네 가지의 요소들을 훈련해야 합니다."
김예경 Yekyung Kim, BSc.

이 문화간 능력(Intercultural Competence, ICC)은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소통할 때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성공적인 이문화간 소통에 있어서 원어민처럼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며 다음 네 가지의 요소들을 훈련해야 합니다.

 

  1. 태도 (Attitude): 자신의 문화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즉시 버리고 호기심을 가지며 개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2. 지식 (Knowledge): 자신의 문화와 다른 문화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관습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각 문화의 사회적인 상황에서 개인 간의 소통방식과 집단 간의 소통방식에 대한 이해가 요구됩니다.
  3. 해석 및 연결 능력 (Skills of interpreting and relating): 자신이 속한 문화의 관점뿐만 아니라 이문화적 관점에서 서류 혹은 사건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발견 및 소통 능력 (Skills of discovery and interaction): 어떤 문화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습득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지식을 다른 이문화간 능력 요소들과 결합하여 실제 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중언어와 다중문화권 학생들이 새로운 문화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문화적 지식과 언어를 통합시키는 이문화간 능력이 발휘되어야 합니다. 액티브 러닝 프로그램에서는 단순히 문법적으로 완벽하고 기술적인 영어가 아닌 그 언어로 생각하고 궁극적으로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액티브 러닝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for Adults

이승하 Seungha Lee, MSc

WAIS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란?

 

16세 0개월부터 69세 11개월까지의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는 높은 신뢰도를 기반으로 하는 인지능력 검사입니다.

 

WAIS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는 10개의 핵심 소검사를 통해 총 4개 지표(언어이해지표, 지각추론지표, 작업기억지표, 처리속도지표)에서의 합산점수와 전반적인 지적능력을 나타내는 합산점수(IQ; FSIQ)를 제공합니다.

 

Verbal Comprehension Index (언어이해지표): 언어의 개념 이해, 추상화 및 응용 능력 평가
Perceptual Reasoning Index (지각추론지표): 비언어적 추론과 지각적 조직화 능력 평가
Working Memory Index (작업기억지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 평가
Processing Speed Index (처리속도지표): 시각적 정보 구별과 정보 습득을 통해 필요한 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능력 평가

 

WAIS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나요?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는 개인의 지능평가 뿐만 아니라 성격적, 심리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주는 포괄적인 인지능력 검사입니다. 웩슬러 검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청소년들의 경우 필요한 심리치료 계획 및 교육적 방향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며, 성인들의 경우에도 심리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능 검사는 단독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진단인터뷰, 심리사회적 개인 히스토리, 기타 정서, 행동, 성격 질문지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웩슬러 지능검사와 더불어 다양한 심리검사 결과를 통해 치료적 개입 전문적인 지원이 가능해집니다.

조현병 Schizophrenia

이승하 Seungha Lee, MSc

조현병이란?

현실에 대한 인지 및 검증력에 어려움을 겪고 비정상적인 사고를 할 경우 조현병이 진단됩니다. 조현병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과 음성 증상이 있습니다.

  1. 망상: 자신과 세상에 대한 잘못된 믿음으로 피해망상(권력기간, 특정한 개인 등이 자신을 미행한다는 믿음), 관계망상(일상적인 일들이 자신과 관계가 있다는 믿음) 등이 있습니다.
  2. 환각: 외부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소리나 형상을 지각하는 경우를 말하며, 가장 흔한 환각경험은 환청입니다.
  3. 혼란스러운 언어: 이야기의 논점에서 자주 벗어나거나 횡설수설하여 상대방이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합니다.
  4.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 상황에 부적절하게 나타나는 행동(계절에 맞지 않는 옷을 입는 등) 혹은 근육이 굳은 것처럼 한 자세만을 유지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5. 음성 증상: 정서적 표현이 감소되거나 사회적 활동에 무관심한 채로 오래 지속되는 것을 뜻합니다.

 

치료 방법은?

중증 환자의 경우 입원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증상 완화를 위해 다양한 행동치료적 기법이 활용됩니다. 또한, 체계적 둔감법(불안/두려움을 적게 느끼는 상황부터 가장 많이 느끼는 상황을 단계별로 정리한 이후 불안/두려움을 가장 적게 느끼는 상황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각 상황에서 불안/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 학습)과 사회적 기술훈련(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두려움을 극복하고 필요한 사회적 스킬 학습) 치료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며, 약물치료도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현병의 증상들은 여러 치료를 통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저희 심리클리닉에서는 학술적,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조현병 경증 증상의 어려움으로 방문해주신 분과 가족들에게 심리학적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급식 및 섭식 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더트리그룹의 심리클리닉에는 급식 및 섭식 장애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찾아오시기도 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급식 및 섭식 장애의 정의와 더트리 심리클리닉에서 치료방법을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급식 및 섭식 장애란?

 

 

개인의 건강과 심리사회적 기능을 현저하게 저하하는 부적응적인 섭식 관련 행동을 말하며,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가 있습니다.

 

 

 

 

1) 신경성 식욕부진증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음식 섭취를 제한하고, 이로 인해 심각한 저체중일 경우 신경성 식욕부진증이 진단됩니다. 체중/체형이 자기 평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저체중의 심각성을 잘 인지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제한형과 폭식-하제 사용형으로 분류되는데, 제한형의 경우 체중 증가를 제한하기 위해 대체로 금식 혹은 과도한 운동을 선택하는 반면, 폭식-하제 사용형은 구토 혹은 약물 복용의 방법을 선택합니다.

 

 

2) 신경성 폭식증

 

 

신경성 폭식증의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 동안 다른 사람에 비해 현저히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고, 체중을 제한하기 위해 보상 행동으로 구토, 약물 복용, 금식, 혹은 과도한 운동을 합니다.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동안 음식 섭취에 대한 조절 능력 상실감을 느낍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마찬가지로 체중/체형이 자기 평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3) 폭식장애

 

 

폭식장애는 신경성 폭식증과 비슷하게 일정한 시간 동안 다른 사람에 비해 현저히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고,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동안 음식 섭취에 대한 조절 능력 상실감을 느끼게 됩니다. 다만, 신경성 폭식증에서 보이는 보상 행동은 보이지 않습니다. 폭식행동을 하는 동안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과학적 심리치료 방법은?

 

 

최신 심리학 및 심리치료 분야의 경험과학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지행동치료(CBT) 및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DBT)가 급식 및 섭식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 CBT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등과 같은 급식 및 섭식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적절하고 건강한 체중/체형 목표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 또한, 부적응적인 사고(예를 들어, ‘마른 몸을 유지해야만 사람들이 나를 좋아할거야’)에서 조금 더 적응적인 사고를 통해 자신감 상승 등의 목표를 설정하기도 합니다.

 

 

식사 다이어리 및 체중 변화 기록지 등을 통해 올바른 식습관을 모니터링 하여 이를 증진시켜갑니다. 행동치료적 심리치료기법을 통해 마음과 의지만으로는 어려운 급식 및 섭식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어 갈 수 있습니다.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DBT

 

 

급식 및 섭식 장애는 다른 심리적 어려움과 마찬가지로 감정조절의 어려움 및 대인관계 어려움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를 통해서 마인드풀니스, 대인관계 효율성, 감정조절, 고통감내 스킬을 습득하고 연습하여, 폭식이나 보상행동이 아닌 자신을 살리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감내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를 통해서 DBT의 섭식 문제에 관한 높은 효과성 및 재발방지 효과를 알 수 있습니다.

 

 

 

 

급식 및 섭식 장애의 증상들은 과학적 심리치료방법과 숙련된 치료자의 지지를 통해 얼마든지 나아질 수 있습니다. 저희 더트리 심리클리닉에서는 학술적,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급식 및 섭식 장애의 어려움으로 방문해주신 분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