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과 식이장애

너무나 부정적인 나의 외모와 체형에 대한 평가
식이장애의 악순환

다이어트는 충동적 폭식으로, 폭식은 우울과 감정조절과 대인관계 문제로.
그리고 끝없이 반복되는 폭식과 거식증

내 체형과 몸무게에 대한 걱정과 우울이 사라지지 않고, 폭식과 거식행동이 절제되지 않습니다.

식이장애는 다이어트 등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 여성들의 1~3%가 가지고 있는 흔한 문제입니다. 식이장애의 주요 증상인 폭식증이 발병하는 연령은 평균 19세 정도이며, 이들 가운데 10%정도만이 과체중 상태이고 25~30% 정도는 과도하게 식이제한을 하는 거식증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식이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식사 행동에서 이상반응을 보이며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갖고 있고 이에 대한 강한 불안과 두려움을 느낍니다.

 

극단적인 다이어트로 인하여 폭식유발요인이 누적되면서 제한된 시간 내에 평소보다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이후 신체적/심리적 통제능력을 상실하는 느낌을 받게 되어 이에 대한 보상적 행동이나 구토와 같은 음식물 제거행동을 하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행동은 우울감이나 자기 비하, 감정조절와 대인관계로 이어집니다.

 

이와 같이 식이장애는 신체적 건강 문제를 유발하며 동시에 다양한 심리적 문제고 사회적 기능성에도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식이장애를 잘 치료하기 위해서는 감정조절과 충동조절 문제를 치료할 수 있는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DBT는 감정조절과 충동성과 연관이 있는 신경성 폭식증의 폭식/보상행동과 이후 나타나는 우울증상을 감소시키며폭식장애에서 보이는 분노감몸무게체형 및 식습관에 대한 걱정을 감소시킵니다또한 폭식 행동 자체에 대한 절제능력도 증진이 됩니다.

 

식이장애에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하위 유형이 있습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거식증) 

 

– 극단적 식사 제한 : 신체에 필수적인 영양원 공급이 차단되어 심각한 저체중 상태가 지속되며, 장기적인 저체중은 건강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됩니다.


– 체중증가에 대한 공포감 : 심각한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공포를 느끼며, 체중 증가를 시키지 않기 위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합니다.


– 부적절한 자기평가: 자신의 체형과 체중에 의해 지나치게 부정적인 평가를 하며, 저체중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신경성 대식증 (폭식증)

 

– 폭식행동: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많은 양을 먹는 폭식행동이 자주 재발하며, 식사에 대한 조절감을 잃어버린 느낌을 받습니다.


– 과도한 보상행동: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구토, 설사제나 이뇨제, 금식, 과도한 운동 등 부적절한 보상행동을 지속적으로 합니다.


– 부적절한 자기 평가: 자신의  체형과 체중에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합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90, 12층
지도바로가기

02 557 8823

info@thetreeg.com

화 – 금요일 : 10:00 AM – 7:00 PM KST
토요일: 9:00 AM – 6:00 PM KST
월요일: 휴무

CONNECT WITH US

Copyright © 2021 the Tree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