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과 불안, 갈등은 골몰하게 만들고
트라우마는 인지적 해리증상으로 집중하지 못하게 합니다.
정서적 문제의 원인을 알지 못하면 학습수행 능력은 낮아지게 됩니다.
전문적 심리치료와 심리교육적 전략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아동청소년이 우울이나 불안, 가족이나 친구와의 갈등, 트라우마와 같은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에 낮은 학습수행능력을 보입니다. 정상적인 학습능력을 보이던 아이가 갑작스러운 성격적 변화나 집중력이 흐트러지고 학습능력이 저하가 관찰된다면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겪고 있을 수 있습니다. 정서적 스트레스가 있을 때 남자아이들이 행동적 문제를 보이는 반면, 여자 아이들은 우울이나 불안, 회피나 짜증반응을 보이면서 학습수행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리교육적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증상이 동반한 학습문제의 경우, 과학적 심리치료, 가족과의 치료세션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갑니다. 특히 트라우마 경험이 있는 경우 인지적 해리증상으로 인해 학습에 집중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에 이런 정서적 문제를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Active Learning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아이의 정서적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이상반응을 확인하여 임상치료 세션에서 직접 문제를 치료해 나갈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정해진 언어발달이나 학습적 목표를 점진적으로 완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