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리 심리클리닉ㅣ포스트

뉴본 스토리심리치료 이야기 시리즈심리학 NOW

photo of man wearing brown coat

나는 오늘도 회사에 출근을 했다

"이제 정말 매일 출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내일 뵙겠습니다’ 라는 말이 동료들에게 내일도 무사히 출근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고, 역시 다음날 아침 ‘좋은 아침이에요’라고 반갑게 서로를 맞이할 수 있는, 어쩌면 당연한 일상을 이제서야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정말 매일 출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내일 뵙겠습니다’ 라는 말이 동료들에게 내일도 무사히 출근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고, 역시 다음날 아침 ‘좋은 아침이에요’라고 반갑게 서로를 맞이할 수 있는, 어쩌면 당연한 일상을 이제서야 나눌 수 있게 되었다."
더트리 심리클리닉 내담자

직장인에게는 너무나도 당연한 이 활동이 어렵기만 하던 시절이 있었다. 잠에 취한 채 ‘5 분만 더 자야지.’ 하는 나태함은 아니었다.

 

매일 아침 침대를 박차고 일어나지 못하는 이유에는 알 수 없는 무기력함이 있었다. 외출 준비를 다 하고 나서 현관문을 나설 때는 두려움과 불안감이 엄습했다. 어떤 날에는 겨우 건뭍 밖으로 나가서 한참 길올 걷다가 불현듯 눈앞이 뿌옇게 흐려지고 숨이 답답해지는 상황을 겪기도 했다. 원인도 몰랐고, 하루 증 언제 그런 상황이 찾아올지도 몰랐다. 그런 상황에 닥치면 살아낼 뿐이었다.

 

내가 겪고 있던 많은 것들을 나는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다.

 

PTSD 라는 단어를 보긴 했지만, 사실 그런 건 전쟁이나 재난과 같이 엄청나게 큰 경험에서만 생기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했다. 지난 1 월, 어떤 곳인지도 알지 못한 채 처음 더트리그룹을 찾아올 때까지만 해도 나는 그저 내가 피해를 경험한 우울증 환자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지난 9 개월간의 DBT 프로그램은 내가 살아오며 그저 견뎌온 것들, 살기 위해 회피하고 있던 나의 모습, 수많은 취약성들과 잘못된 관점들을 내 스스로 직시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시시때때로 내 마음 속에 떠올라 나를 힘들게 하는 생각들과 어느 날 내 인생을 송두리째 뒤집어 버린 부정적인 감정과 사건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곪아버린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나의 언어가 되어 주었다.

 

하루 3 끼를 챙겨먹고 ,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기, 가서 많은 일을 하지 않아도 좋으니 일단 출퇴근을 잘 하기. 차근차근 단순함으로 귀결되는 정돈된 일상 속에서 나는 조금씩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 파도가 휘몰아치는 바다에서 항해하는 법을 배우듯 감정의 소용돌이 안에서 평화와 고요함을, 마인드풀한 마음상태를 찾을 수 있는 방법도 배울 수 있었다 .

 

매일 쓰고 있는 다이어리에 어떤 날은 기분상태가 ‘-‘이기도 하고 , 어떤 날온 ‘+’ 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상태를 지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알고 마음을 먹으면 그것을 해낼 수 있다는 점이다. 모든 하루하루를 밝게만 살아갈 수 없고, 부정적인 감정이 언제든 생겨날 수 있겠지만 그 모든 과정 속에 내 마음을 들여다보고 다독일 수 있는 내가 되었다는 것이 앞으로도 내 인생의 소중한 자산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돌이켜 보면 지난 9 개월간 정말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수없이 다투고 사소한 헤어짐을 반복했던 대인관계 문제가 해결되었고, 1000 명 가까이 있던 핸드폰의 연락처는 50 개 이하로 줄었으며, 단출해진 일상만큼 감정의 기복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아직 100% 의 컨디션은 아니지만, 이제 정말 매일 출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내일 뵙겠습니다’ 라는 말이 동료들에게 내일도 무사히 출근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고, 역시 다음날 아침 ‘좋은 아침이에요’라고 반갑게 서로를 맞이할 수 있는, 어쩌면 당연한 일상을 이제서야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이제야 기능성을 회복한 상태니 앞으로 지속노출치료를 통해서 트라우마로 남아있는 그 사건들을 직면하기 위해 지금까지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머릿속을 헤집어서 기억의 조각들을 마주하고, 진실로 담담해질 때까지 반복하는 그 과정을 중간에 그만두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셨으니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어쩐지 나는 해낼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나는 결코 혼자가 아니니까.

 

더 이상 이 세상을 살아갈 희망이, 내게 남은 에너지라고는 아무 것도 없다고 생각했을 때 내 손을 잡고 이곳으로 이끌어준 고마운 사람들, 그리고 지난 시간 동안 일어설 수 있도록 응원하고 격려하며 지켜봐준 사람들, 기꺼이 안전장치가 되어준 사람들에게 고맙다. 그 고마운 사람들이 여전히 내 곁에 있다.

 

지난 세션 이 과정을 다 끝내고 나면 ‘살아있는 역사’, ‘레전드’가 될 거라는 선생님의 말씀에 둘 다 깔깔거리며 신나게 웃었더랬다. 그런 거창한 단어는 생각만으로도 오글거린다. 글쎄. 나는 정말로 그런 위대한 역할은 바라지 않는다. 그저 지금으로서는 행복한 사람이고 싶다.

 

앞으로 정말 잘 살아서 언젠가 후배들에게 ‘이런 선배도 있구나.’ 하고 조금의 희망이라도 된다면 족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 조카들에게 ‘‘좋은 어른”이 되어주고 싶을 뿐이다.

*  더 트리 심리클리닉 치료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동의 하에 솔직한 치료 후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추천글
photo of person holding alarm clock

수면위생과 정신병리의 관계성

수면 문제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단순히 생물학적 현상(biology)이 아닌 하나의 행동(behavior)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thoughtful female put face in glass container with water

나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 DBT

“DBT를 시작하면서 얽혀 있던 감정의 실타래가 하나씩 풀리기 시작했고,
서서히 나 자신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90, 12층
지도바로가기

02 557 8823

info@thetreeg.com

화 – 금요일 : 10:00 AM – 7:00 PM KST
토요일: 9:00 AM – 6:00 PM KST
월요일: 휴무

CONNECT WITH US

Copyright © 2021 the Tree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