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조절자료 12, 문제 해결하기




DBT 메세지
우리가 느끼는 모든 감정은 의사소통의 기능이 있습니다.
위험한 상황을 느낄 때 불안함을 갖게 되고,
그 불안함은 근육을 경직시켜 도망가거나 싸울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불안감은, 사실에 합당한 정당한 감정입니다.
지금 위협적이거나 위험한 상황이 실제로 있고 이것이 사실이라면,
감정적 반응에 따라 우리는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합니다.
너무나 불안해 경직되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끼면,
오히려 적극적으로 위협이 되는 사건을 직면하여 문제를 제거해보십시오.
불안을 일으키는 사건에 대해 통제력을 갖거나 때로는 그 위협을 적극적으로 피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느껴지는 감정이 사실에 부합하고 정당한 감정이라면
그 감정을 일으킨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십시오.
DBT Story
DBT에 참여하였던 젊은 청년의 이야기입니다.
정중하고 예의바른 이 청년은 고민이 있었습니다. 이메일이 오면 알지 못하는 불안감에 휩사이곤 했습니다.
이전에 행정적 실수로 좋지 않은 경험을 한 이후로 불안감이 심해졌다고 호소했습니다.
그러나 그 불안감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하고 고민만 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문제 상황과 행동을 파악하고 기술하는 훈련을 하면서, 의외의 불안함의 근원이 밝혀졌습니다.
행정적 실수의 문제는 컴퓨터 이메일 프로그램을 잘 다루지 못해
중요한 이메일을 받지 못할 것에 대한 막연한 불안이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이 사건은 일어났었고, 지금도 일어나고 있으므로
그 불안은 정당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회피하며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정당하지 않은 불안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요?
컴퓨터 이메일 프로그램을 다루기 어려워 불안한 마음이 든다면,
불안함을 없애기 위해 문제해결을 먼저 해야합니다.
이 청년은 공포스럽게 여겼던 이메일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공부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변덕스럽고 이해하기 어려운 프로그램들의 속성을 파악했습니다.
하기 싫고 피하고 싶은 마음 불안감은 합당하지 않은 감정으로 파악하고,
정반대 행동하기 스킬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한 달 뒤, 컴퓨터 이메일 알람소리가 들어도 더이상 깜짝 놀라지 않습니다.
아직 불편한 감정이 가끔 들기는 하지만 더이상 불안감에 휩싸이지는 않습니다.
이 불안감은 피하고 싶은 이메일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공부해서 문제를 해결하라는 정당한 감정이었던 것입니다.
정당한 불안감은 우리에게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게 하는 나침반입니다.
DBT 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역자
심리학자 조용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