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T 센터 한국본부 ㅣ포스트

오늘의 마인드풀니스DBT 클래스 & 라이프DBT NOWDBT 센터 소식DBT 프로그램 등록DBT 미디어

심리치료 상황에서의 반인종차별주의에 대하여

김예경ㅣYekyung Kim, BSc

우리는 치료자로서 우리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문제가 될 만한 행동이 미칠 영향에 대해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문제 행동을 피하기 위해 어떠한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지 기술할 수 있어야 합니다.
김예경ㅣYekyung Kim, BSc

심리치료 상황에서의 반인종차별주의에 대하여

 

 

다문화사회, 다인종사회. 우리는 어느덧 그 한 중간에 와있지만, 인종차별에 관한 이슈는 아직도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폭발적 증가와 다양한 민족들간 이동, 미래 인구감소로 인해 외국에서 근로자들, 여행객, 유학생들이 더 많이 우리와 함께할 것을 생각하면,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간과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저희 클리닉에서는 설립 초기부터 이중문화권 내담자분들을 많이 만나고 있습니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우리로부터 받았던, 그리고 한국인들이 해외에서 경험했던 차별받은 다양한 경험을 함께 다루어가고 있습니다. 실제로 외국인인 한 내담자의 부모는 한국에서 여러 경험을 하다보니 때로는 차별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가 피해의식적으로 느껴져서 고통스럽다는 것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적응이 어려워 다신 본국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으며, 한국인이 외국에서 경험한 차별경험 역시 흔한 일이었습니다.

 

DBT 치료 및 연구자들도 반인종차별주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인종주의’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수치심, 죄책감, 불안과 같은 다양한 감정이 떠오릅니다. 치료자로서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며, 인종주의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지 늘 깨어 있어서, 우리가 판단과 결정을 내릴 때 이것이 방해하지 않도록 늘 경계해야 합니다.

 

Platt(2017)의 연구에 따르면, 치료자들의 3가지 주요 반응이 있는데, 첫째로 치료자들이 방어적인 반응과 재확인하려는 경향성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자신의 행동이 인종주의적인 의미가 아니라고 과도하게 설명하고 방어적으로 대하게 되는 것입니다.

 

둘째로 비치료적 반응으로써, 지식 부족으로 인해 수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치료자는 자신의 언행이 인종주의적이었다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거나, 백인 치료자들은 인종주의적 행동을 “알지 못할까” 심하게 불안해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치료적 반응으로써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이상적인 반응입니다. 바로 치료자가 세션에서 인종차별적 행동에 대해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식별하고, 내담자가 겪게된 아픔과 그로 인한 고통을 감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스킬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입니다. DBT 개인 및 그룹 세션에서 인종 차별을 목표로 두기 위해 DBT 스킬을 사용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자는 인종 차별에 대한 반응이 치료자-내담자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어떠한 인상을 주게될 지 신중하게 고려하면서 다양한 내담자 그룹을 만나는 것이 좋습니다. 미묘한 차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치료자는 감정을 표현해야 하고 인종차별을 받은 내담자가 어떻게 느낄 지에 대해 수인적 반응을 보여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인종차별적 유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행동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Nadal, 2014).

 

우리는 치료자로서 우리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문제가 될 만한 행동이 미칠 영향에 대해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문제 행동을 피하기 위해 어떠한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지 기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심리학자들이 이 분야에 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임상가들 또한 반인종주의에 관하여 공부하고 노력하여 반인종차별주의적 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기를 기대합니다.

DBT NOW

DBT NOW 포스트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최신의 DBT 치료 연구와 다양한 학술적 소식들을 나누는 포스트입니다.
people looking at laptop computer
추천글
group of women dance in studio

고요 속의 외침과 몸으로 말해요

지난 DBT 스킬훈련 그룹에서는 고요 속의 외침과 몸으로 말해요를 통해 마인드풀니스 What 스킬의 참여하기를 연습했습니다. 첫 번째 라운드에서는 참여자들이 마이크를 끈 상태에서 속담 하나를 25초 동안 고요 속에서 외치고 남은 20초 동안은 그것을 몸으로 표현하였습니다. 

wooden pieces with letters on the white background

몸과 마음에 감사하기

지난 DBT 스킬 훈련 그룹에서는 ‘몸과 마음에 감사하기’라는 마인드풀니스에 온전히 관찰하고 참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90, 12층
지도바로가기

02 557 8823

info@thetreeg.com

화 – 금요일 : 10:00 AM – 7:00 PM KST
토요일: 9:00 AM – 6:00 PM KST
월요일: 휴무

CONNECT WITH US

Copyright © 2021 the Tree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