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T Center of Korea ㅣPost

Mindfulness TODAY ㅣ DBT Class & Life ㅣDBT NOWDBT Center BulletinㅣDBT Program RegistrationDBT Center Media

아동 청소년 자살행동의 변화 양상: 인종 차이와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

양미린ㅣMirin Yang, MA

어린 아동과 소수민족의 자살행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정책과 지원, 그리고 보호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고, 이를 연구하는 연구자들 역시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로서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 대한 진정한 관심과 협력이 더욱 증진되기를 바랍니다.
양미린ㅣMirin Yang, MA

아동 청소년 자살행동의 변화 양상: 인종 차이와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

아동 청소년들의 자기파괴적 행동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관심도가 높아지고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연구는 미국의 청소년 자살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며, 특히 인종간 차이와 위험 요인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프리칸 아메리칸 청소년에 주목하여 연령별, 성별, 촉발환경 등에 대해 다루며 매년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자살률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또한 “청소년 youth”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 중,고등학생을 지칭하며 5-11세의 아동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며 관련 데이터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5-14세의 아동은 자택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주로 가족 및 학교 문제가 촉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언쟁이 일어난 후 24시간 내로 상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고, 남아보다 여아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또한 ADHD 진단을 받은 경우도 위험요인 중 하나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반해 15-17세의 청소년의 경우 이성 문제 및 최근에 발생한 범죄/법적 문제가 가장 큰 촉발 요인이었으며, 유서를 남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우울증 혹은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증)이나 약물 남용 문제가 위험요인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자 아동청소년의 경우 대인관계 문제가 주된 촉발요인이며, 언쟁 후 24시간 내에 위험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신체건강 문제가 있거나 과거 자살 사고, 계획, 시도 이력이 큰 위험 요인이며, 현재 정신건강 문제, 현재 및 과거 심리치료 여부 또한 여기에 속했습니다. 우울증 및 지속성 우울장애, 불안장애 역시 자살행동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자 아동청소년의경우는 최근에 발생한 범죄/법적 문제가 큰 위험요인이었고, ADHD 진단을 받은 경우에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통계 자료가 보여주는 청소년 자살행동 변화 양상의 심각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자살은 예방 가능하기 때문에 교육 및 종교기관을 포함한 지역사회 곳곳에서 이들의 자살행동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인도 메갈라야주에 시간이 흘러 물가를 건널 수 있는 다리가 된 나무줄기를 소개하며,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이 나무줄기 다리처럼 지역사회내 자살예방 네트워크가 생성되는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우리 사회 안에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연결점들(connections)이 점차 늘어갈 때 문제해결의 통로가 만들어 질 것이라는 메세지를 전했습니다.
 
그 동안 관심 주제 밖에 놓여 있던 어린 아동과 소수민족의 자살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것입니다. 이들에 관한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정책과 지원, 그리고 보호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고, 이를 연구하는 연구자들 역시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로서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 대한 진정한 관심과 협력이 더욱 증진되기를 바랍니다.
DBT NOW

DBT NOW 포스트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최신의 DBT 치료 연구와 다양한 학술적 소식들을 나누는 포스트입니다.
people looking at laptop computer
WHAT WE RECOMMEND

LOU-22-01 EN DBT Post Contents

I had doubted the purpose of life when I had to tolerate the painful difficulties, although I understood that life cannot be always without obstacles.

12th Fl. 90 Beobwon-ro Songpa-gu
Seoul, Republic of Korea

+82-2-557-8823

info@thetreeg.com

TUE – FRI : 10:00 AM-7:00 PM KST
SAT : 9:00 AM-6:00 PM KST
MON: Closed

CONNECT WITH US

Copyright © 2021 the Tree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