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치료 영역과 증상​

마음의 상상과 현실의 갈등은 감정을 만들어냅니다.
즐거움과 행복감, 슬픔과 괴로움은 우리 마음속에 항상 교차됩니다.
보이지 않는 마음의 고통을 측정 가능한 증상으로 연구하고, 이 증상이 만들어내는 괴로움을 낮추는 심리치료 과학적 심리치료는 구체적인 증상들을 밝혀내고 치료하는 것입니다. ​

우리의 마음은 상상할 수 있는 것과 다른 현실을 경험하면서 많은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즐거움이나 행복감과 같은 좋다고 생각하는 감정과  슬픔이나 괴로움, 불안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은 우리 마음속에서 일상적으로 교차되곤 합니다. 고대의 철학자들이나 종교인들은 이러한 인간의 희노애락과 현실과의 갈등에 대해 성찰하며 이러한 인간의 한계에 대해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소중한 조언을 했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상처나 질병과 같이 보이는 것과는 달리 보이지 않는 인간의 마음의 고통이나 감정적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근대에 이르러서 입니다. 경험주의적 철학과 실증과학적 사조에서 심리학이 태동하기 시작하면서 보이지 않는 인간의 마음이나 감정의 영역들을 측정가능한 요인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추상적으로 마음이 괴롭다는 경험은 현대에 와서는 구체적으로 측정이 될 수 있는 우울이나 불안이라는 증상적 요인으로 정의되어 연구되었고, 그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치료적 전략까지 임상적으로 적용이 되었습니다.

close up photo of blue daisy

대인기피와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 사회불안장애 ​

사회불안장애는 사회공포증 및 대인기피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DSM에서는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나 타인들에게 주목받을 수 있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사회적 상황이나 수행 상황에 대한 현저하고 지속적인 두려움. 

Read More »
pink roses with petals around isolated on white background

감정조절의 어려움: 감정조절장애와 경계선 성격장애

감정조절의 끝나지 않는 심리적 고통과 괴로움

감정적 말과 행동으로 나를 아끼는 사람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깁니다.

감정조절장애는 자신의 감정적 신호, 경험, 언어적 반응, 비언어적 표현 및 행동을 사회적 규범에 맞게 바꾸거나 조절해보려고 최선을 다해 노력해도 조절할 수 없는 증상입니다.

Read More »
photo of golden flowers beside body of water

걱정과 불안함: 범불안장애

범불안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지나친 걱정을 하며 이를 중단하거나 통제하기 힘들다고 느낍니다. 만성적으로 걱정을 하기 때문에 언제나 ‘폭풍 전의 고요함’과 같은 느낌을 갖거나, ‘~하면 어떻게 하지?’와 같은 걱정하는 불안한 마음을 갖습니다.  

Read More »
close up photo of blue petaled flowers

특정 학습의 어려움: 학습장애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는 초기발달단계인 학령 전기에 발현되기 시작하여, 개인적,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일으키는 신경발달적 문제로 발달적 지연의 범위나 정도는 개인차가 매우 크며, 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 등과의 동반질환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ead More »
white and yellow flower on pink wall

틱 행동: 틱장애 및 뚜렛장애

틱장애 및 뚜렛장애는 자신이 통제할 수 없이 특정 근육을 움직이거나 특정 소리를 내는 만성적인 신경행동장애이며, 운동 틱과 음성 틱, 단순 틱과 복합 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Read More »
twigs with delicate flowers on white background

언어발달 지연과 이중언어 습득지연: 의사소통장애

언어발달 지연과 같은 의사소통장애는 언어장애, 말소리장애, 말더듬(유창성 장애) 등을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언어, 발음, 사회적 의사소통의 발달과 사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초기발달단계인 학령전기 4-7세에 발현되기 시작하여, 개인적,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일으키는 발달적 문제를 보여 성인기까지 지속됩니다.

Read More »
pink macaroons and carnation flowers placed on table

음식과 다이어트: 식이장애

식이장애는 다이어트 등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 여성들의 1~3%가 가지고 있는 흔한 문제입니다. 식이장애의 주요 증상인 폭식증이 발병하는 연령은 평균 19세 정도이며, 이들 가운데 10%정도만이 과체중 상태이고 25~30% 정도는 과도하게 식이제한을 하는 거식증을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Read More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90, 12층
지도바로가기

02 557 8823

info@thetreeg.com

화 – 금요일 : 10:00 AM – 7:00 PM KST
토요일: 9:00 AM – 6:00 PM KST
월요일: 휴무

CONNECT WITH US

Copyright © 2021 the Tree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