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적, 신경학적, 사회심리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갖는 행동장애 ADHD

아동 청소년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청소년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s Hyperactivity Disorder)는 산만함,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12세 이전에 발병하고 만성화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보다 3-4배 이상 많이 보고됩니다.
ADHD를 보이는 아이들은 학업, 대인관계, 정서발달 등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습니다. 조기에 효과적인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품행장애 및 반사회적 행동 역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습니다.
ADHD는 유전적, 신경학적, 사회심리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갖는 행동장애이며,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진단받을 확률이 크게 높아지며, 여러 유전적 요인과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작업기억, 계획수립, 언어적 유창성, 실행순서 정하기 등 전두엽 기능에서의 어려움과 함께 행동 반응을 억제하지 못하는 특징이 일관되게 나타납니다.
“화내지 않으려고 다짐했지만,
말을 듣지 않는 아이에게 또 소리를 지르고 맙니다.“

성인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성인기 ADHD 내담자들은 직장생활, 대인관계 등에서 많은 곤란한 문제를 겪습니다. 아동 청소년기의 증상과 달리 과잉행동은 줄어들지만 여전히 심리적으로 분주하고 조바심을 느끼며 주의집중의 어려움, 충동성 그리고 감정 조절을 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경험하게 됩니다. 또한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단순하게 성격과 지능에 이상이 있다고 여김으로써, 그에 따른 자책과 자괴감으로 인하여 자존감이 낮아지는 문제를 겪기도 합니다.
어렸을 때부터 ADHD나 정서행동적 증상이 있는 경우 성장과정에서 효과적인 대처 기술을 습득하기 어렵고, 미리 체계적으로 계획하거나 실행하지 못하여 낮은 성취율을 보이며 반복적으로 실패하여 자신에 대해 부정적 사고와 신념을 형성하게 됩니다. 자신에 대한 부정적 관점은 회피와 산만성을 증가시켜 과제나 문제에 직면했을 때 주의를 쉽게 돌리게 되고 또 다른 행동 관련 문제로 이어지게 됩니다.
ADHD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주의 증상
– 세부 사항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교 과제, 기타 활동에 부주의한 실수를 자주 합니다.
– 과제나 놀이, 여가 활동에 있어 지속적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 지시를 끝까지 따르지 못하고 학교 과제나 허드렛일, 직장에서 업무를 마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 과제와 활동을 조직화하는데 자주 어려움을 느낍니다.
– 지속적인 집중을 요하는 과제를 피하고 싫어하거나 주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과제나 활동에 필요한 것들을 자주 잃어버립니다.
–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집니다.
– 일상적인 활동이나 약속을 자주 잊어버립니다.
과잉행동/충동성 증상
– 손이나 발로 꼼지락 거리거나 가만히 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자리를 자주 이탈합니다.
– 주위를 돌아다니거나 적절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나치게 움직입니다.
– 여가 활동을 하거나 조용히 무엇인가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 몹시 분주하고 마치 모터가 달린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불쑥 대답하는 행동을 자주 합니다.
– 순서를 기다리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 다른 사람의 말에 끼어들거나 방해하는 행동을 자주 합니다.
이와 비슷한 증상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아래의 전문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